의사 시간부족, 환자 이해부족…AI로 극복 가능 [2025 테크 퀘스트]

입력 2024-10-17 15:22 수정 2024-10-17 15: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주한 서울의대 교수, ‘의료AI와 의료 마이데이터 시대 건강’ 강연

▲김주한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가 1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2025 테크 퀘스트(Tech Quest)’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창간 14주년을 맞이해 ‘인공지능, 건강 그리고 미래(AI, Health & Future)’를 주제로 마련한 ‘2025 테크 퀘스트; 기술의 미래와 혁신에 대한 탐구’는 기술로 사회에 이로운 변화를 견인하고 IT, 산업, 금융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미래 기술의 글로벌 기준을 가장 빠르게 제시하는 뉴 노멀(New Normal) 예측의 장이다. 조현호 기자 hyunho@
▲김주한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가 1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2025 테크 퀘스트(Tech Quest)’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창간 14주년을 맞이해 ‘인공지능, 건강 그리고 미래(AI, Health & Future)’를 주제로 마련한 ‘2025 테크 퀘스트; 기술의 미래와 혁신에 대한 탐구’는 기술로 사회에 이로운 변화를 견인하고 IT, 산업, 금융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미래 기술의 글로벌 기준을 가장 빠르게 제시하는 뉴 노멀(New Normal) 예측의 장이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이 의료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전망이다. 환자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의사는 만성적인 시간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주한 서울대 의과대학 정보의학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이투데이 창간을 기념해 1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인공지능(AI), 건강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개최된 ‘2025 테크 퀘스트(2025 Tech Quest)’에서 ‘의료AI와 의료 마이데이터 시대 건강’ 강연을 통해 이러한 전망을 제시했다.

의료 영역은 일반적인 산업 분야와 달리 수요가 무한하고, 서비스의 아웃컴(Outcome)에 대한 고려는 부족하다. 건강보험 시스템 내에서 행위별 수가제도에 따라 통제되기 때문이다. 경영자와 마찬가지인 병원은 모든 서비스를 기성품으로 준비하고, 환자들에게 매칭해 제공하면서 최소한의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은 환자를 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의료기관은 마치 물류 시스템처럼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통찰이다.

김 교수는 “현재 500병상에서 많게는 3000병상까지 규모를 키운 의료기관이 등장하고 있는데, 젊은 세대 의사들 사이에서는 병상의 규모를 키우는 방식으로는 의료 서비스 지속가능성이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라며 “컨베이어벨트에 환자를 올려놓고 필요한 것을 주는 구조에서 문제 해결형(problem solving) 헬스케어로 변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 데이터와 AI 기술이 미래 의료 환경 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기관에는 환자 한 명을 치료하기 위해 의사와 간호사를 비롯한 다양한 직종의 인력이 근무한다. 하지만 검사와 처치 등 치료의 전체 과정에서 모든 최종 결정은 의사가 내려야 하며 책임 역시 의사가 지게 된다. 의사의 업무에 과부하가 걸릴 수밖에 없는 셈이다. 환자들 역시 자신의 치료 과정에 참여할 기회가 없다. 환자에게 주어지는 선택지가 많지 않으며, 의사나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를 이해하기도 어렵다.

김 교수는 “의사는 환자들을 보면서 하루에만 100장이 넘는 법적 책임이 따르는 문서에 서명을 한다”라며 “반면 환자들은 건강보험료를 내고 있으면서도 의료기관에서 진행하는 거의 모든 치료 프로그램에서 소외돼 있고, 의료진이 알아서 해주기만을 믿고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병원에서 가장 부족한 자원은 의사의 시간이고, 가장 낭비되고 있는 자원은 환자 자신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의사의 업무 가운데 일부는 AI를 활용해 효율화할 수 있다. 일일이 기억할 수 없는 약물상호작용을 AI가 잡아내거나, 현재 의료기관에 도입된 AI 챗봇이나 상담 서비스 등은 병원 내 업무 과부하 해소에 기여한다. 환자들이 스스로 건강정보를 숙지하고, 이를 활용해 일상적으로 건강관리를 실시하면 치료에 더욱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해 김 교수는 파편적으로 분산된 개인의 의료정보를 한곳에 통합해 저장하는 ‘헬스 아바타’ 플랫폼을 개발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의사를 완전히 대체하는 기술은 불가능하겠지만, 의료에 특화된 AI를 개발해 일부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의료 분야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소하고 환자들의 건강 정보 관련 문해력을 제고하는 과제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라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K바이오헬스, AI가 가져올 의료혁명 미래 조명 [2025 테크 퀘스트]
  • '꿈의 다이어트약', 국내 상륙했는데…아무나 못 맞는다고요? [이슈크래커]
  • 2024년 첫 단풍·단풍 절정시기·단풍 명소 정리 [그래픽 스토리]
  • 나이·소득 조건없이…무주택자라면 '2024년 HUG 든든전세주택 3차'[십분청년백서]
  • [종합] 검찰, 김건희 여사 ‘도이치 의혹’ 불기소…“주가조작 인식 못 해”
  • [르포]"관광 끊기고, 짓다 만 건물 수두룩…코로나 회복 먼 얘기"[K금융, 퀀텀점프④]
  • 민희진, 어도어 사내이사로 재선임…임기는 3년
  • 한동훈·이재명 ‘텃밭싸움’에서 웃었다...부산 국힘, 영광 민주
  • 오늘의 상승종목

  • 10.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20,000
    • +0.62%
    • 이더리움
    • 3,563,000
    • +0.74%
    • 비트코인 캐시
    • 494,200
    • +2.17%
    • 리플
    • 752
    • +2.73%
    • 솔라나
    • 207,500
    • -0.67%
    • 에이다
    • 473
    • -1.05%
    • 이오스
    • 653
    • -0.76%
    • 트론
    • 218
    • +1.4%
    • 스텔라루멘
    • 130
    • +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000
    • -0.8%
    • 체인링크
    • 15,110
    • -0.85%
    • 샌드박스
    • 357
    • -0.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