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저자는 일본 출신의 나가노 하루입니다. 그는 여덟 살 때부터 조현병을 앓고 있는 어머니를 돌보는 보호자가 되었습니다. 본인이 보호받아야 할 나이에 거꾸로 돌봄의 책임을 떠안아야 했습니다. 엄마는 조현병을 앓고, 언니는 우울증, 아빠는 방임하는 상황에서 가족 돌봄이라는 짐을 짊어지다가 본인에게도 엄마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게 됩니다. 어린 나이에 과도한 책임을 갖는 부담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감정을 상실한 것입니다.
주인공은 엄마와 언니를 돌보는 과정에서 자신을 희생해야 했습니다. 아동청소년이 하는 가족 돌봄은 사회적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매우 고통스럽습니다. 주인공은 어릴 때부터 어른처럼 행동해야 했고, 그로 인해 어린 시절을 온전히 누리지 못한 아픔을 겪습니다. 하지만 상실 속에 머물러 있지 않고 다시 자신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하루 하루 섬세하게 글로 담아냅니다. “어린 시절을 어린아이로 살지 못하고 누구보다도 어른으로 산다는 건, 영원히 아이라는 의미입니다”라는 문장에 저의 시선이 오래 머물렀습니다.
주인공은 가족 돌봄이라는 상황뿐 아니라 정신질환을 가진 가족으로서 차별도 경험합니다. 가족 돌봄뿐 아니라 엄마의 조현병으로 인해 이중적인 사회적 편견과 고립감을 경험한 것입니다. 주인공은 엄마를 차별하는 어른들과 아이들을 보며 그들에 대한 연민과 경멸을 동시에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감정은 자신이 사회로부터 받는 고립감과도 연결됩니다. “나는 미쳤다는 소리를 듣는 세계에 살고 있는 동시에 미친 세계를 단죄하려 드는 보통 사람인 척하며”라는 문장은 주인공이 겪었던 이중적인 감정과 고통을 잘 나타냅니다. 매일 학교와 이웃의 비정상적인 시선을 맞닥뜨리면서도, 자신의 일상 속에서 그 고통을 감추며 살아가려 했습니다. 그래서 자신을 “만년동안 살았던 아이”라고 부르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 중 하나는 주인공이 스스로의 고통을 직면하고 그것을 드러내며 치유해나가는 과정을 글로 적어낸 것입니다. “나는 이제 그를 통해 괴로웠던 마음속을 드러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더는 자해가 필요치 않습니다”라는 문장은 자신을 돌보고 고통을 마주하는 과정에서 큰 치유의 힘을 얻게 되는 순간을 보여줍니다. 그는 더 이상 자해를 통해 자신을 벌할 필요가 없을 만큼, 내면의 상처를 마주하고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가족 돌봄이라는 사회적 역할 속에서 겪는 개인의 고통과 회복을 심도 있게 다루지만 “고마워, 용케 버텨냈구나. 애썼어”라는 말은 그동안 겪어온 고통과 상처에도 불구하고 결국 자신을 인정하고 위로하는 과정의 끝자락에서, 스스로에게 전하는 위로의 말로 들립니다. 왜 그 말이 나에게도 위로가 될까요?
전안나 책글사람 대표·사회복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