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한국 기업 실적, 미국·일본 앞서…3개국 반도체 업종 81% 성장

입력 2024-09-2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총 '한·미·일 업종별 대표기업 경영실적 비교' 보고서

(출처=한국경영자총협회)
(출처=한국경영자총협회)

올해 상반기 한국·미국·일본의 대표 기업 중 매출 기준 성장세가 가장 높았던 국가는 한국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업종이 가장 좋은 실적을 거뒀고, 철강 업종은 역성장했다.

22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한·미·일 업종별 대표기업 경영실적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대표 기업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17.1%로, 미국(14.6%)과 일본(7.1%)을 앞섰다.

평균 영업이익률은 미국(18.5%), 한국(9.5%), 일본(7.5%) 순으로 집계됐다.

(출처=한국경영자총협회)
(출처=한국경영자총협회)

한·미·일 대표기업의 업종별 상반기 경영 실적은 철강 업종을 제외한 7개 업종의 매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모두 증가했다.

반도체(81.3%) 업종의 성장이 두드러졌고, 제약·바이오(19.5%), 인터넷서비스(13.5%)도 매출액이 크게 늘었다.

작년 상반기에는 반도체(-15.3%), 정유(-8.8%), 철강(-6.2%) 업종의 매출액이 감소했지만, 올해는 8개 업종 중 철강 업종(-6.9%)만 역성장했다.

철강 업종 실적은 2021년과 2022년 상반기 각각 33.1%, 35.1%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지난해 상반기(-6.2%)부터 하락 추세를 보였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반도체(75.4%)와 제약·바이오(38.1%) 업종이 매출액 증가율 상위 2개 업종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반도체(87.3%)와 인터넷서비스(19.5%) 업종이, 일본에서는 자동차(16.7%)와 제약·바이오(14.6%) 업종의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낮은 하위 2개 업종은 우리나라의 경우 철강(-9.4%)과 통신업(2.1%)이었다. 미국에서는 철강(-11.9%)과 통신업(0.0%)이, 일본에서는 철강(0.5%)과 유통업(2.6%)으로 집계됐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고금리‧저성장 기조 장기화, 러·우 전쟁과 중동 정세로 인한 불안 등 글로벌 환경 변화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계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경쟁국 수준의 세제 지원, 규제 완화 등으로 기업이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미 결제된 선수입니다"…본격 막 올린 스토브리그, '변수'는 없을까? [이슈크래커]
  • 먹을 사람 없고 귀찮아서…"김장, 안 하고 사 먹어요" [데이터클립]
  • 12년만 서울 그린벨트 해제…5만 가구 공급, 물량은 ‘충분’·공급 시간표는 ‘물음표’
  • 법인세 회피 꼼수…네이버 5000억 냈는데 구글은 155억
  • 단독 "AI에 진심" 정태영 부회장, '유니버스' 중동 세일즈 나섰다
  • 미 결전의 날…첫 여성 대통령인가 vs 132년만의 패자 부활인가
  • ‘자금 위해’ 글로벌로 눈 돌리는 K바이오, 해외서 투자 유치
  • 北, 미 대선 6시간 전 단거리탄도미사일 수발 발사…닷새 만에 도발 감행
  • 오늘의 상승종목

  • 11.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63,000
    • +2.6%
    • 이더리움
    • 3,359,000
    • +1.39%
    • 비트코인 캐시
    • 475,100
    • +5.04%
    • 리플
    • 711
    • +2.3%
    • 솔라나
    • 230,200
    • +5.89%
    • 에이다
    • 463
    • +2.89%
    • 이오스
    • 588
    • +4.44%
    • 트론
    • 223
    • -1.33%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150
    • +4.49%
    • 체인링크
    • 14,990
    • +5.71%
    • 샌드박스
    • 327
    • +4.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