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조 화장품이 우리 수출을 이끄는 효자로 자리 잡으면서 정부도 연구·개발(R&D)과 해외 규제 대응 서비스 등 관련 지원을 늘리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다른 산업군에 비해 지원 규모가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전 산업군에 걸쳐 최첨단 기술을 도입하는 추세인 만큼, 화장품도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0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4월과 7월 크게 두 차례에 걸쳐 화장품 산업 지원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4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나서 K뷰티 산업에 무역보험 1조 원과 해외 마케팅, 인증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국 화장품이 기존 주력 시장이었던 중국을 넘어 미주, 중동, 아세안 등 신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수출 전략을 다방면으로 지원한다는 것. 이는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국가별로 인증 절차와 규제가 다르고, 마케팅 전략도 상이하다는 업계 목소리를 반영한 지원책이다.
7월에는 중소 브랜드 육성을 위한 지원책을 발표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CJ올리브영, 아마존 등 유통 플랫폼과 콜마, 코스맥스 등 제조사와 수출 유망기업을 발굴한다고 밝혔다. 선정 기업에는 마케팅과 수출 전략 컨설팅을 지원한다. 특히 정부는 콜마, 코스맥스와 함께 민관이 공동 출자하는 'K뷰티 전용펀드'도 조성한다. 자금은 수출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중점 투자한다. 국가별로 다른 규제 대응 지원책도 마련한다. 여기에 국내외 규제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국내 화장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도 국제기준(ISO)과 조화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정부가 성장하는 국내 화장품 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그 규모가 작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주덕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교수는 "의약품, 의료기기 등 다른 산업에 비해 정부가 화장품에 지원하는 연구개발 비용이 적은 편이라서,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100억 달러 수출 달성을 위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색조 화장품 색을 내는 타르 성분 규제가 해외보다 심한 편인데, 관련해 규제를 좀 풀어줄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양성에 대한 목소리도 높다. 김경옥 대한화장품협회 글로벌협력실장은 "미국의 경우 2022년 12월 말부터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이 도입해 진출이 더욱 복잡해졌다"며 "중소기업은 관련 규제에 대응할 인력이 없는 경우도 많아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지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경우 계속해서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규원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K뷰티 수출 현황 및 신규 유망시장' 보고서에서 "안정적인 수출 증가세 유지를 위해 기존 시장 외에 수출 대상국 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전 세계 화장품 시장이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점유율 확대를 위해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출 현황과 새롭게 공략할 시장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