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통화량 증가폭 다시 확대, 한 달 새 20조 넘게 증가…정기예적금 등 늘어

입력 2024-08-1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13일 ‘2024년 6월 통화 및 유동성’ 발표
M2, 전월대비 23억5000억 늘어…13개월째 증가세
정기예적금, 금리 고점 인식 등 영향에 11조4000억 증가

(한국은행)
(한국은행)
시중 통화량의 증가폭이 확대됐다. 정기예적금 등 일부 상품이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6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6월 광의통화량(M2, 계절조정계열, 평잔)은 4037조6000억 원으로 전월대비 0.6%(23조5000억 원) 증가했다. 5월엔 증가율이 0.0% 수준으로 증가액은 1조 원도 채 안 됐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다시 확대된 것이다. 작년 6월(0.4%)부터 13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M2 금융상품별 증감액(전월대비)을 보면 △요구불예금(-4조 원) △기타 통화성 상품(-2조8000억 원)은 감소했다. 반면, △정기예금(11조4000억 원) △수익증권(9조2000억 원) △MMF(5조1000억 원) 등은 증가했다.

한은은 요구불예금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감소했고, 기타통화성 상품은 기업의 수입 결제대금 지급 등으로 외화예수금이 줄면서 감소 전환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정기예적금은 금리 고점 인식에 따른 수요 확대 및 은행의 자금유치 노력으로 증가했다”며 “수익증권은 금리 인하 기대, 국내외 주가 상승 등으로 채권형 및 주식형 펀드의 증가세가 지속됐으며, MMF는 사회보장기구 자금이 유입되며 증가 전환했다”고 부연했다.

주체별로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정기예적금 중심으로 10조6000억 원 증가한 2105조4573억 원을 기록했다. 기타금융기관은 수익증권 증심으로 2조3000억 원 증가했다. 반면 기타부문은 수익증권 중심으로 5조6000억 원 감소했고, 기업도 기타 통화성 상품 중심으로 5000억 원 줄었다.

아울러 6월 협의통화(M1) 평잔(계절조정계열 기준)은 1220조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요구불예금이 줄며 전월대비 1조 원 감소했다.

금융기관유동성(Lf, 평잔, 계절조정계열 기준)은 전월보다 26조2000억 원 증가 전환했고, 광의유동성(L, 말잔)은 전월말대비 42조6000억 원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추석 연휴 미장에 눈돌린 개미…‘원 픽’ 종목은
  • '대리 용서 논란' 곽튜브 사과에도…후폭풍 어디까지?
  • 단독 측량정보 수년간 무단 유출한 LX 직원들 파면‧고발
  • 헤즈볼라 호출기 폭발에 9명 사망·2750명 부상…미국 “사건에 관여 안 해”
  • 추석 연휴 마지막 날, 부산→서울 귀경길 정체…가장 혼잡한 시간대는?
  • 인텔, 파운드리 분사ㆍ구조조정안 소식에 주가 상승…엔비디아 1.02%↓
  • 의사가 탈모약 구매‧복용하면 의료법 위반?…헌재 “檢 처분 취소”
  • 오늘의 상승종목

  • 09.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697,000
    • +1.93%
    • 이더리움
    • 3,116,000
    • +0.29%
    • 비트코인 캐시
    • 420,000
    • -0.26%
    • 리플
    • 776
    • -1.77%
    • 솔라나
    • 175,200
    • -1.63%
    • 에이다
    • 446
    • -0.89%
    • 이오스
    • 640
    • +0%
    • 트론
    • 203
    • +0.5%
    • 스텔라루멘
    • 127
    • -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800
    • -1.9%
    • 체인링크
    • 14,100
    • -1.54%
    • 샌드박스
    • 334
    • +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