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용평가사들, 잇따라 G7 재정적자 경고

입력 2024-07-05 13: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Pㆍ스코프, 보고서 통해 밝혀
미국, 프랑스 등 선거 앞두고 관심

▲주요 7개국(G7) 정상들과 유럽연합(EU) 대표단이 지난달 13일 스카이다이빙 시연을 보고 있다. 보르고 에냐치아(이탈리아)/AP연합뉴스
▲주요 7개국(G7) 정상들과 유럽연합(EU) 대표단이 지난달 13일 스카이다이빙 시연을 보고 있다. 보르고 에냐치아(이탈리아)/AP연합뉴스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주요 7개국(G7)의 재정적자를 경고하고 나섰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S&P 글로벌레이팅스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과 이탈리아, 프랑스가 이미 늘어난 부채를 지금 수준으로 유지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평을 내렸다.

S&P는 “선거철인 현 단계에선 시장에 가해지는 압박이 많이 늘어나야만 이들 정부가 더 단호하게 예산을 확보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며 “하지만 그렇게 하더라도 차입 환경이 급격히 나빠진다면 재정 (적자)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에 대해선 “불어난 재정적자를 의미 있게 줄이고 정부 부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에 있어 양당의 지지를 찾아보기 힘들었다”며 “이는 신용도에 영향을 준다”고 지적했다.

스코프레이팅스 보고서도 같은 맥락의 분석을 내놨다. 이들은 “지속해서 오르는 차입 비용은 이들 국가의 예산에 부담을 줄 것”이라며 “이러한 변화는 국가 부채 지속 가능성에 대한 위험을 높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이 거론한 국가들은 대부분 선거를 치르거나 앞두고 있어 시장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미국에선 첫 번째 대통령선거 TV토론 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사퇴 압박을 받고 있고, 영국에선 이날 총선 출구조사 결과 제1야당 노동당이 집권 보수당을 제치고 과반 승리할 것으로 예측됐다.

프랑스에선 1차 총선 결과 르펜이 이끄는 극우 블록이 승리했고 2차 투표를 앞두고 있다. 선거 결과에 따라 국가별 재무 상황도 달라질 수 있다.

이보다 앞서선 국제금융기구들도 G7의 재정적자 문제를 경고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재정적자로 정부의 신뢰가 급격히 상실될 수 있다”고 지적했고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을 가리켜 “재정적자가 너무 크다”고 비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생일 축하해” 루이바오·후이바오의 판생 1년 [해시태그]
  • 축구협회, 국가대표팀 사령탑에 홍명보 감독 내정
  • [날씨]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 수도권 천둥·번개 물폭탄…무더위는 계속
  • 맥북 던진 세종대왕?…‘AI 헛소리’ 잡는 이통3사
  • [기회의 땅 아! 프리카] 불꽃튀는 선점 전쟁…G2 이어 글로벌사우스도 참전
  • 국산 신약 37개…‘블록버스터’ 달성은 언제쯤? [목마른 K블록버스터]
  • “이마트 ‘노브랜드’ 발품 팔아 찾은 가성비...해외서도 통했죠”[단독 인터뷰]
  • ‘평생 트라우마’ 학교폭력, 더 심해지고 다양해졌다 [학교는, 지금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07.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9,386,000
    • -4.01%
    • 이더리움
    • 4,156,000
    • -4.59%
    • 비트코인 캐시
    • 444,000
    • -8.68%
    • 리플
    • 596
    • -6.58%
    • 솔라나
    • 187,800
    • -7.49%
    • 에이다
    • 491
    • -6.65%
    • 이오스
    • 694
    • -6.09%
    • 트론
    • 177
    • -4.32%
    • 스텔라루멘
    • 119
    • -7.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200
    • -7.52%
    • 체인링크
    • 17,560
    • -6.2%
    • 샌드박스
    • 402
    • -7.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