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에 아프리카 내준 미국...전문가가 제안한 6대 승리 전략

입력 2024-06-22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국내 정치와 지정학 갈등에 아프리카에 소홀
9월 니제르서 미군 전면 철수 예정
중국은 금융, 러시아는 안보 지원으로 입지 확장
전 나토 총사령관, 아프리카 입지 회복 방안 제시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지난해 8월 22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훈장을 걸어주고 있다. 요하네스버그/AP뉴시스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지난해 8월 22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훈장을 걸어주고 있다. 요하네스버그/AP뉴시스
지구상 경작지 60%, 광물 매장량 30%를 차지하고 인구 15억 명에 육박하는 아프리카가 세계 안보에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에 서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자국 정치와 주변국의 지정학적 갈등을 챙기느라 아프리카에 소홀하면서 최근에는 중국과 러시아에 입지를 내줬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러시아는 현지 안보 강화, 중국은 금융 지원 등으로 아프리카를 구워삶고 있지만, 미국은 9월까지 니제르에서 미군을 철수하기로 하는 등 후퇴하는 모양새다.

이에 관해 전직 미 해군 제독이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총사령관을 지낸 제임스 스타브리디스는 최근 블룸버그통신 칼럼을 통해 미국을 비롯한 서구 국가들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입지를 넓히기 위한 6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스타브리디스는 우선 아프리카가 가진 엄청난 다양성을 이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에티오피아의 오랜 독립 문화와 남아프리카의 식민지 시대를 비교해 보라. 또 프랑스어권 아프리카는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아프리카와는 매우 다르다”며 “모든 국가는 각자의 특성을 형성하는 오랜 역사적 경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1994년 르완다 대학살 당시 미국은 마비돼 대응하지 못했다”며 “미국은 벨기에 식민 통치 이후 끓어오른 민족 간 긴장감을 이해하지 못했고 엄청난 비극에 개입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부르키나파소에서 2022년 10월 2일 이브라힘 트라오레 임시 대통령 지지자들이 러시아 국기를 들고 시위하고 있다. 트라오레 임시 대통령은 프랑스군이 철수한 후 러시아 용병기업 바그너와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와가두구/AP뉴시스
▲부르키나파소에서 2022년 10월 2일 이브라힘 트라오레 임시 대통령 지지자들이 러시아 국기를 들고 시위하고 있다. 트라오레 임시 대통령은 프랑스군이 철수한 후 러시아 용병기업 바그너와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와가두구/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가운데) 러시아 대통령과 아프리카 정상들이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가운데) 러시아 대통령과 아프리카 정상들이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AP뉴시스
둘째로는 지리적으로 네 개의 영역을 대표하는 국가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동부 천연자원 핵심지인 케냐 △최대 인구와 천연자원을 자랑하는 서부 나이지리아 △글로벌사우스를 대표하고 아프리카 유일 주요 20개국(G20)인 남아프리카공화국 △인구가 둘째로 많은 북부 에티오피아를 지목했다.

스타브리디스는 “이들은 각 지역과 때에 따라선 대륙 전체에 영향을 주는 국가”라며 “이들을 위한 인센티브에는 주요 인프라에 대한 자금 지원과 4세대 전투기, 대테러 훈련 등이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셋째로는 아프리카 내 글로벌 기관들과의 관계 개선이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에티오피아에 본부를 둔 아프리카연합”이라며 “그러나 이곳의 미국 대사 자리는 1년 넘게 공석”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무부는 대륙 전체에 신뢰를 주기 위해 아프리카 경험이 많은 외교관을 임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 밖에도 △글로벌 동맹국들과의 긴밀한 협력 △더 많은 안보 지원 △중국 일대일로에 비견될 지원 등을 주요 전략으로 제시했다.

▲미군이 2017년 10월 5일 니제르에서 매복 공격을 받아 전사한 장병 시신을 인계하고 있다. 미군은 9월 니제르에서 전면 철수하기로 했다. 델라웨어(미국)/AP뉴시스
▲미군이 2017년 10월 5일 니제르에서 매복 공격을 받아 전사한 장병 시신을 인계하고 있다. 미군은 9월 니제르에서 전면 철수하기로 했다. 델라웨어(미국)/AP뉴시스
특히 중국 일대일로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돌아선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현재 아프리카 54개국 중 40개국 이상이 일대일로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국제통화기금(IMF)이나 세계은행(WB)처럼 미국에 기반을 둔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대출보다 중국이 제공하는 조건 없는 대출에 더 흥미를 느끼는 상황이다. 다만 일대일로 중 일부 건설 프로젝트는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고, 관련 대출이 여럿 취소되는 등 중국 역시 빈틈이 없는 것은 아니다.

스타브리디스는 “아프리카의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며 “2050년이면 지구상 인구 4명 중 1명은 아프리카에서 살게 될 것이다. 일관된 전략이 없다면 미국은 계속해서 영향력과 지정학적 이점을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이해인, 성추행 논란에 "연인 사이였다" 주장…피해 선수 측 "정신과 치료 중"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09:1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837,000
    • +1.09%
    • 이더리움
    • 4,855,000
    • +2.08%
    • 비트코인 캐시
    • 549,000
    • +3.98%
    • 리플
    • 668
    • +0.91%
    • 솔라나
    • 210,300
    • +9.13%
    • 에이다
    • 551
    • +1.66%
    • 이오스
    • 828
    • +2.35%
    • 트론
    • 173
    • -0.57%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00
    • +2.23%
    • 체인링크
    • 20,250
    • +3.21%
    • 샌드박스
    • 478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