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부활 노리는 일본…보조금 GDP 비중, 미국·프·독 능가

입력 2024-04-10 17: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DP 대비 0.71%
비율로는 미국의 3배 이상
TSMC 공장 유치 위해 그린벨트도 풀어
구체적 재원·계획 부족한 것은 문제

반도체 패권 전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일본 정부가 미국 등 주요 서방국들과 비교해 경제규모 대비 가장 파격적으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어 주목된다.

닛케이아시아(닛케이)는 10일 일본재정시스템협의회 소위원회 자료를 바탕으로 일본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규모가 최근 3년간 3조9000억 엔(약 35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0.71%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21세기 전략물자’로 떠오른 반도체를 놓고 각국이 지원을 겨루고 있는 와중에 일본의 적극성이 눈에 띄고 있다. 미국은 5년간 7조1000억 엔에 달하지만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21%로 일본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프랑스는 5년간 7000억 엔(GDP의 0.2%)을, 독일은 2조5000억 엔(GDP 0.41%)을 지출했다. 실제 일본 정부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의 일본 공장 건설 등에 1조2000억 엔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또 TSMC 공장 유치를 위해 50년 이상 묶였던 그린벨트까지 풀었다. 자국 반도체 업체 라피더스의 첨단 반도체 개발에는 총 9200억 엔을 제공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일본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 로고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일본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 로고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다만 닛케이는 반도체 파격 지원을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재원과 계획이 부족하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일본 반도체 보조금 중 재원 뒷받침이 있는 것은 5000억 엔 정도에 그친다. 미국은 지출 계획을 짤 때 재원 확보안까지 마련하도록 하는 ‘페이고(PAYGO)’ 원칙을 지키고 있다. 가령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10년 동안 4370억 달러를 지원하는데, 대기업 세수 증가를 그 재원으로 지정했다.

또 닛케이는 서방국가들은 반도체 산업 보조금 규모와 지원 일정 등을 사전에 공지해 기업들의 투자 예측 가능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달리 일본은 아직 재원 마련은 물론 지원 시기 등 구체적인 중장기 투자 전략과 계획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15: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604,000
    • +0.76%
    • 이더리움
    • 5,309,000
    • -0.38%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54%
    • 리플
    • 720
    • -0.83%
    • 솔라나
    • 229,100
    • -1.5%
    • 에이다
    • 627
    • -1.1%
    • 이오스
    • 1,132
    • -0.79%
    • 트론
    • 157
    • -0.63%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18%
    • 체인링크
    • 25,180
    • -2.21%
    • 샌드박스
    • 644
    • +2.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