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지리아 유전개발 사업,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 사업 등 아프리카 지역에서 정부와 민간이 추진하던 대형 해외자원개발사업이 잇따라 표류하고 있다.
이들 지역이 정치적으로 불안한 곳으로 사업초기부터 위험부담이 컸던 만큼 정부와 공기업, 민간기업 등이 이번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해 주목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사의 나이지리아 해상유전 개발권 무효화에 이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한국컨소시엄이 추진하고 있는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 사업이 난항을 겪으면서 '무효화'될 위기에 처했다.
한국광물자원공사가 지난 2006년부터 야심차게 추진했던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 사업이 현지 정정불안과 공정 지연, 니켈가격 하락 등이 맞물리며 차질을 빚고 있다.
암바토비 광산 프로젝트는 총 36억달러(약 5조원) 규모의 초대형 개발사업으로 캐나다 셰리트사의 지분 40%, 광물공사 등 한국컨소시엄 지분 27.5%를 갖고 있다.
최근 마다가스카르에서는 반정부 세력에 의해 정권이 전복되는 등 심각한 정정불안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정정불안 탓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진 않았지만, 자재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니켈 가격이 t당 3만달러를 넘던시절 광물자원공사가 이 광산의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섰으나, 광산의 경제성은 예전보다 많이 떨어진 상태다. 현재 니켈 가격은 현재 t당 1만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사업의 최대주주인 셰리트사는 경영악화와 마다가스카르의 정치소요 사태 등을 이유로 개발사업을 2년간 미룰 것을 제안한 상태다.
이와 함께 최근 정권을 잡은 라조에리나 대통령이 "광산 운영자들과 맺은 계약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혀 기존 광산계약의 일방적인 수정 또는 파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엎친 데 덥친 격으로 한국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는 경남기업이 유동성 악화로 워크아웃 준비에 들어가면서 광물공사의 자금악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광물공사 관계자는 "당초 계획보다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셰리트사의 제안은 받아들이지 않을 방침이고, 정정이 불안하지만 사업이 중단될 정도는 아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암바토비 광산에 대한 투자금액도 당초 37억달러에서 45억달러로 늘린 상태"라며 "파이낸싱 등을 통한 자금조달을 통해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석유공사는 올 1월 탐사권을 확보한 해상광구 분양계약을 나이지리아 새 정부로부터 취소 당했다. 이들 광구는 2006년 3월 현지를 방문한 노무현 전 대통령과 올루세군 오바산조 당시 대통령이 임석한 가운데 계약 체결된 것이다.
이들 광구는 각각 10억배럴의 잠재매장량을 지닌 것으로 추정돼 왔으며 석유공사와 한국전력, 대우조선해양으로 구성된 한국컨소시엄은 60% 지분을 확보했었다. 석유공사는 이들 광구에 대한 탐사권이 인도 국영 석유회사에 넘아가자 지난달 소송을 제기했다.
이처럼 아프리카 지역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이 잇따라 무산위기에 처한 것은 정치적 불안에 따른 리스크라는 지적이다.
해외 거대 석유기업이 손대지 않은 정치적 불안지역 등에서 독자적 유전을 개척하자니 대가가 크다는 것.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고위험, 고수익' 구조인 자원개발 사업의 특성을 인정하면서도 위험관리에 더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석유 메이저들이 손을 안 대는 곳에 가다보니 위험이 클 수 밖에 없다"며 "아프리카 지역의 신흥자원부국이 갖고 있는 리스크를 면밀히 분석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정치적 불안에 따른 문제는 정부의 외교적 지원없이는 사실상 어려운 영역인 만큼 시의적절한 (정부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