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복제약파문'으로 위기에 빠진 제약업계

입력 2009-04-01 16:14 수정 2009-04-13 15: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요즘 국내제약업계를 보면 ‘풍전등화(風前燈火)’라는 말이 떠오른다.

지난 달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시중유통중인 복제약(제너릭) 2095여개에 대해 약효를 평가한 결과 무려 60%가량이 평가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약효 입증에 실패했다고 밝혔다. 같은날 인태반주사제 11개제품이 효과를 입증하지 못해 시장에서 퇴출명령을 받았다.

효과가 없어 퇴출된 의약품의 수가 1200여개에 이르며, 이중 유명제약회사의 제품도 상당수 포함돼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그동안 제약회사와 약품 이름만 믿고 의료기관을 찼았던 국민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또 이 복제약파문은 내수 경기침체와 한미FTA, 정부의 약가 인하 조치 등으로 위기에 빠진 국내 제약업계에 상당한 타격을 주고 있다.

사실 정부의 이번조치는 지난 2006년 보건복지가족부의‘건강보험 약제비 적정화방안’의 후속조치인 ‘기등재 의약품 목록정비 사업’에 따른 것이다.

보건복지부의 자료(약제비 적정화 방안)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1만6703개의 의약품을 보험 적용해 주는데 비해, 프랑스는 4200개, 영국은 1만1797개, 호주는 2506개, 스웨덴은 3152개만을 보험 적용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이 사업을 통해 난립해 있는 복제약들로 인해 약제비(건강보험 재정중 30%)가 인상돼 건강보험 재정이 악화됐다고 판단, 정부가 직접 나서 오는 2011년 까지 나머지 약효군에 대해서도 평가를 통해 효능이 없는 제품들을 정리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한국제약협회 어준선 회장은 고환율로 제약회사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약값 경제성 평가를 위한 전문인력 부족 등 인프라가 부실하다며 약값 인하사업을 2년 동안 연기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정부가 이를 받아들인다고 해도 경쟁력을 잃어버린 제약사에겐 결국 인공호흡기로 생명을 잠시 연장시키는 조치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한 다국적 제약회사 관계자는 “근본적으로 국내제약업계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신약개발을 통해 수출시장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히고 “국내제약사 사정상 연구개발비용에 한계가 있기는 하겠지만 품목간ㆍ회사간 M&A를 해서라도 더 이상 내부에서 치고받는 싸움만 할 것이 아니라 다국적기업과의 경쟁력을 키워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제약회사들은 오너중심의 보수적 경영체제를 유지하고 있어 회사간 M&A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활발한 품목의 코마케팅(co-marketing)등은 대부분 국내사-외자사간에 주로 이뤄지고 있어 한미FTA발효후 외국계회사가 직접마케팅을 할 경우 국내사들은 다시 제너릭으로만 승부해야 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더욱이 400여개 국내 제약회사 중 상위 20여개를 제외한 대다수 회사들의 매출이 1000억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보통 수백억원의 비용이 드는 신약개발은 멀고 먼‘꿈’인 것이 현실이다.

시작은 언제나 두렵다. 그러나 더 이상 제너릭의 달콤한 유혹(?)에만 빠져서는 안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골드만, 경기침체 가능성 25%로 높여...“연준, 금리 올해 3차례 내린다” [미국 ‘R의 공포’ 본격화]
  • '역대 최약체' 소리까지 나왔는데…한국, 새 역사까지 금메달 '4개' 남았다 [이슈크래커]
  • 서머랠리 가고 ‘골드랠리’ 오나…패닉 증시에 안전자산으로 머니무브 [블랙 먼데이]
  • 코스피·코스닥 매도 사이드카 발동…'사이드카' 뜻은?
  • 제주도 갈 돈으로 일본 여행?…"비싸서 못 가요" [데이터클립]
  • 공개 열애 14일 만…'7살 연상연하 커플' 황정음-김종규 결별 소식
  • 단독 배우 한예슬, ‘생활약속’ 모델료 청구 소송 승소…法 “6억6000만원 지급”
  • 말로는 ‘연금개혁’, 뒤에선 압력 행사 [연금개혁의 적-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8.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6,120,000
    • -9.19%
    • 이더리움
    • 3,423,000
    • -12.25%
    • 비트코인 캐시
    • 434,300
    • -11.19%
    • 리플
    • 686
    • -9.5%
    • 솔라나
    • 182,700
    • -9.06%
    • 에이다
    • 442
    • -11.24%
    • 이오스
    • 629
    • -7.91%
    • 트론
    • 174
    • -2.79%
    • 스텔라루멘
    • 122
    • -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50
    • -11.85%
    • 체인링크
    • 13,270
    • -15.48%
    • 샌드박스
    • 340
    • -9.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