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네 자릿수를 기록하는 등 위기 속에서 학교는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반면 학원가의 긴장감은 높아졌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학원의 개념은 사교육에 이어 돌봄까지 확대됐다. 한정된 자원으로 학교 돌봄이 운영되다 보니 부모들은 학원에 기댈 수밖에 없다.
‘조기 여름방학’으로 학원에 대한 의존도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교육 당국의 학원 방역 대책을 보면 불안하다.
현재 학원 방역을 위한 주요 대책은 오후 10시 이후 운영 금지와 종사자들에 대한 백신 접종, 그리고 선제 PCR(유전자증폭) 검사다.
학원들은 나름대로 학생 간 띄어 앉기, 정기·수시 소독 등 자체적으로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신청자에 한해 원격 수업도 병행한다.
하지만 부족하다. 더욱 강화된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학원 종사자에 대한 백신 접종을 적극적인 대책으로 포장해 방역 불감증을 키워선 안 된다.
확진자가 급증한 서울·경기 지역 학원 종사자들은 지난주부터 백신을 맞고 있다. 부산·인천 등 8월 초로 예정된 경남을 제외한 나머지 14개 시·도는 다음 주 학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
학원 종사자를 통한 집단감염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긴 하지만 아이들이 절대 우위인 상황에서 인상적인 결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일부 학원의 경우 소속 강사 등 종사자들이 백신 접종을 해 안전하다는 식으로 홍보하며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한다. 얄팍한 상술에 기막힐 노릇이지만 자녀 걱정하는 부모 입장에서 눈길이 갈 만하다.
학원 방역을 위해선 교육 당국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자율성 보장을 핑계로 맡겨둬서는 안 된다.
지금은 기존보다 더 전염성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큰 특수한 상황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날로 세지는데 방역 대책이 과거에 머물러 있으면 곤란하다.
서울과 인천, 경기, 부산, 대전 등지에서 학원발 집단감염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보습 학원, 운동 학원 등 형태를 가리지 않고 산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대전의 한 학원과 관련해선 19일 0시 기준 강사와 수강생, 가족까지 47명이 집단감염 됐다.
학원 감염의 전형적인 유형은 아이들은 물론 가족까지 연쇄감염을 동반한다는 것이다. 어린 자녀일수록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다 보니 알아채기 쉽지 않다. 역학조사 결과를 기다리다 선제 검사나 초기 대응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한창 사회성을 키워야 할 아이들을 집안에만 두는 것도 어렵다.
2학기 전면등교는 학원 방역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계속 백신 타령만 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얘기다.
정부는 촘촘한 학원 방역을 위해 예산을 아낌없이 지원해야 한다. 영업 손실보상 차원이 아닌 방역에만 쓸 수 있는 비용을 보전해 줘야 한다.
방역은 시설 및 인력 확충에 따른 각종 지출이 발생한다. 자영업자인 학원장 입장에서 부담이 크다.
정부가 일시적으로 방역 전담 인력에 한해 인건비를 보조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방역 전담사 한 명이 인근의 중소형 학원 3~4곳을 묶어 관리할 수도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학습 결손으로 인한 학력 격차가 심각한 상황이다. 2학기 전면등교를 결정지을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다.
현장 점검‧지도보다 더 필요한 것은 현실적인 방역 대책이다. 학원 방역에 뒷짐진 채 상대적으로 학교가 더 안전하다고 외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