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붕괴 건물, 작업자들 이상 징후 느끼고 대피…무슨 일 있었나

입력 2021-06-10 13: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7명 사상자 난 광주 건물 붕괴 사고
작업자 소음 등 이상 징후 느껴 대피
주변 도로 통제 안 해…버스 덮쳐

▲9일 오후 광주 동구 학동의 한 철거 작업 중이던 건물이 붕괴, 도로 위로 건물 잔해가 쏟아져 시내버스 등이 매몰됐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119 구조대원들이 구조 작업을 펼치는 모습.  (연합뉴스)
▲9일 오후 광주 동구 학동의 한 철거 작업 중이던 건물이 붕괴, 도로 위로 건물 잔해가 쏟아져 시내버스 등이 매몰됐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119 구조대원들이 구조 작업을 펼치는 모습. (연합뉴스)

광주 철거 건물 붕괴 사고 관련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안전 불감증으로 부실했던 철거 과정이 드러나고 있다.

철거 당시 붕괴 건물 뒤편 저층부부터 건물을 허무는 등 철거 과정이 허술하게 진행된 데다, 현장 관계자들이 작업 중 붕괴 징후를 느껴 대피했는데도 주변 차량 통제는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광주시와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전날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지역 건물 붕괴 사고 발생 상황 브리핑에서 건설업체 관계자들은 인도는 통제했지만, 차도는 통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붕괴 전 건물에는 굴착기와 작업자 4명이 있었고 건물 안과 밖에서도 두 명씩 작업 중이었는데, 작업 과정 중 소리 등 이상 징후를 느끼고 모두 대피해 사상자는 없었다.

건설 현장 관계자는 "이상 징후로 소리가 났다"며 "작업자들은 모두 대피한 뒤 현장 양쪽에서 인도를 통제했다"고 했다.

이상 징후를 느꼈지만 도로 통제를 안 한 이유에 관해 묻자 관계자는 "수습이 급해서 상황 파악이 먼저"라며 즉답을 피했다.

경찰은 10일 오후 사상자 17명을 낸 광주 건물 붕괴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합동 감식을 벌일 예정이다.

경찰은 철거 작업 전반과 건물 붕괴 전후 경위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앞서 9일 오후 4시 22분께 광주 동구 학동 4구역 주택 재개발사업 근린생활시설 철거 현장에서 건축물이 무너져, 인근 정류장에 정차 중인 시내버스 1대를 덮쳤다.

이 사고로 버스 승객 중 9명이 숨지고, 8명이 크게 다쳐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펜싱 여자 사브르, 사상 첫 단체전 은메달…우크라에 역전패 [파리올림픽]
  • 투자만큼 마케팅 효과도 '톡톡'…'파리올림픽' 특수 누리는 기업은? [이슈크래커]
  • 단독 “셀러도 몰랐던 위성몰”…‘큐익스프레스 상장용’ 부풀리기 꼼수[티메프發 쇼크]
  • 부작용이 신약으로…반전 성공한 치료제는?
  • 아이브, 美 롤라팔루자 신고식 '성공적'…밴드 라이브로 팔색조 무대 완성
  • 엔화 강세에 엔테크족 '반짝 웃음'…추가상승 여부는 '글쎄'
  • “유급 없다”는데도 돌아오지 않는 의대생…수업 출석률 2.7% 불과
  • 기술주 흔들려도…외국인 ‘삼성 러브콜’ 건재
  • 오늘의 상승종목

  • 08.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330,000
    • -1.4%
    • 이더리움
    • 4,099,000
    • -2.15%
    • 비트코인 캐시
    • 495,500
    • -6.69%
    • 리플
    • 775
    • -2.76%
    • 솔라나
    • 201,200
    • -3.92%
    • 에이다
    • 506
    • -2.13%
    • 이오스
    • 719
    • -0.96%
    • 트론
    • 181
    • +2.84%
    • 스텔라루멘
    • 130
    • -2.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50
    • -4.05%
    • 체인링크
    • 16,360
    • -3.2%
    • 샌드박스
    • 386
    • -4.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