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회 개막 D-1, 증시 관전 포인트는?

입력 2021-03-03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첨단산업 육성ㆍ공급망 자국화ㆍ내수 확대 및 소비 촉진”

(자료제공=신한금융투자)
(자료제공=신한금융투자)

중국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4일 개막한다. 올해 양회에서는 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과 2035년 장기 발전 전략이 승인되는 등 중국 경제 발전의 청사진이 공개된다. 증권가는 △첨단산업 육성 △공급망 자국화 △내수 확대 및 소비 촉진 등을 관전 포인트로 꼽았다.

이번 양회에서 ‘쌍순환’을 중심으로 한 내수 확대와 소비 촉진 정책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증시 전문가는 내수 촉진과 신경제 육성을 위한 정부 부양책 규모와 세부 정책 방향성을 주목해야 한다고 짚었다.

최설화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갈등 속 중국은 자국 기술 육성을 통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려고 할 것"이라며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신재생 투자 확대, 5G 등 신형 인프라를 통한 내수 확대에도 나설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민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부양책 통과 이후 베이징시는 인프라와 생활 개선, 첨단산업 분야에 1조3000억 위안을 집행할 예정"이라며 "허난성은 4조4000억 위안 규모의 고속철 연장 등 인프라 사업을 추진할 전망이다. 상해시도 자유무역지구 내 신에너지차 관련 기업의 법인세 감세 및 생산 확대를 골자로 한 신에너지차산업 발전 계획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양회에선 향후 5년 뒤 중국 경제의 방향을 정하는 14차 5개년 계획도 확정 짓는다. 이에 증시 전문가는 올해 양회는 정책 정상화와 리스크 관리에 방점을 두고 있는 만큼 지수보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육성할 성장 산업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박석중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내수 공급망 재편, 기술 자립, 소비 진작 테마에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며 "내수 공급망 재편은 농업과 신재생에너지 분야 수혜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기술 자립은 5G와 반도체 국산화 분야가, 소비 진작은 서비스 소비와 내부 공급망을 활용한 로컬 브랜드가 두각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시청역 사고, 급발진 가능성은 0에 가까워…브레이크 밟는 모습 영상에 나와"
  • 예약 밀리고 안 되고…국민 10명 중 3명, 의료공백 불편경험 [데이터클립]
  • 징크스 끝판왕…'최강야구' 설욕전, 강릉영동대 직관 경기 결과는?
  • "당분간 상승 동력 없다"…비트코인, 6만2000달러서 제자리걸음 [Bit코인]
  • ‘좀비기업 양산소’ 오명...방만한 기업 운영에 주주만 발 동동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③]
  • 주류 된 비주류 문화, 국민 '10명 중 6명' 웹툰 본다 [K웹툰, 탈(脫)국경 보고서①]
  • '천둥·번개 동반' 호우특보 발효…장마 본격 시작?
  • 박민영이 터뜨리고, 변우석이 끝냈다…올해 상반기 뒤흔든 드라마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02 12: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566,000
    • -0.4%
    • 이더리움
    • 4,846,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540,500
    • -2.44%
    • 리플
    • 671
    • +0.3%
    • 솔라나
    • 208,500
    • +0.72%
    • 에이다
    • 571
    • +1.6%
    • 이오스
    • 816
    • -0.24%
    • 트론
    • 180
    • +2.86%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300
    • -2.2%
    • 체인링크
    • 20,190
    • +0.7%
    • 샌드박스
    • 461
    • -2.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