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쌀 직불제 만든 정통 농정 관료

입력 2019-08-09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영록 전 장관 사퇴 이후 5개월 간 장관 대행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이투데이DB)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이투데이DB)
문재인 대통령은 9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김현수(58ㆍ사진) 전(前) 농식품부 차관을 지명했다.

김 후보자는 대구 달성 출신으로 경북고와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86년 행정고시 30회로 공직에 입문한 이래 33년 간 농식품부에서만 일한 정통 농정 관료다. 5월까지 농식품부 차관으로 일하며 이개호 현 장관과 호흡을 맞췄다.

김 후보자는 꼼꼼함과 추진력 덕에 정권을 가리지 않고 중용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농업정책국장과 기획조정실장, 차관보를 지낸 데 이어 이번 정부에서도 첫 농식품부 차관에 발탁됐다. 특히 지난해 3월 김영록 전 장관이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한 후 이 장관이 8월 취임할 때까지 장관 대행으로 다섯 달 간 무리 없이 농식품부를 이끌었다. 이 같은 점 때문에 농식품부 안팎에선 김 후보자가 차관에서 물러난 직후부터 장관으로 곧 복귀할 것이란 전망이 파다했다.

김 후보자의 주전공은 식량 정책이다. 2004년 식량정책과장을 지내며, 쌀 추곡수매제를 폐지하고 직접지불금(직불금)과 정부 비축제를 도입한 식량 정책 개혁의 밑그림을 짰다. 김 후보자가 장관에 임명된다면 문재인 정부 농정의 핵심 과제인 논ㆍ밭 직불금 통합, 직불금 차등화 등 공익형 직불제 도입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김 후보자는 농업 통상에도 일가견이 있다. 과장 시절, 세계무역기구(WTO) 농업협상과 쌀 관세화 협상에 잇따라 투입됐다. 2008년엔 농림수산식품부 대변인을 맡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파동을 진화하는 소방수 노릇도 했다. 최근 미국으로부터 한국 농업이 WTO 개발도상국 지위 포기 압력을 받는 상황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민단체와의 관계 설정은 김 후보자의 과제다. 지난달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일부 농민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김 후보자를 겨냥해 "자기 성찰과 반성 없는 적폐 관료를 농업의 수장으로 임명하면 이것이야말로 농업 포기며 소통 포기"라고 비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정말 지독한 상성…'최강야구' 동국대 2차전 결과는?
  • 뉴진스 하니·한강 패러디까지…"쏟아지는 '복붙' 예능, 이젠 피로해요" [이슈크래커]
  • 요동치는 글로벌 공급망...‘분절화’ 심화에 다각화 절실 [기후가 삼킨 글로벌 공급망]
  • 2025년 최고의 갓성비 여행지 10곳은? [데이터클립]
  • 의료계 참여가 성공 관건인데…의무 불이행해도 패널티 없어[편해지는 실손청구]
  • 단독 ‘친환경 표방’ 대형마트 리필 매장, ‘처치곤란 실패작’ 전락
  • BTS 제이홉 시구 예고…KBO 한국시리즈 2차전, 우천취소될까?
  • 비트코인, 변동성 커졌다…다시 6만7000달러 선으로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10.22 10: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428,000
    • -1.98%
    • 이더리움
    • 3,625,000
    • -3.13%
    • 비트코인 캐시
    • 499,600
    • -2.14%
    • 리플
    • 746
    • -0.13%
    • 솔라나
    • 228,500
    • -1.08%
    • 에이다
    • 502
    • +0.4%
    • 이오스
    • 675
    • -1.46%
    • 트론
    • 217
    • +1.88%
    • 스텔라루멘
    • 130
    • -2.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300
    • -3.99%
    • 체인링크
    • 16,160
    • -0.19%
    • 샌드박스
    • 380
    • -2.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