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재생 ‘헛발질’...노후 주택 밀집지역 시행 ‘제로’

입력 2018-05-31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내에서 노후화된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이 몰려있는 12개 행정동 중 도시재생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지역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된 지역을 활성화한다는 취지인 도시재생정책의 사각지대가 속출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3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기준 서울시 건축물대장을 분석한 결과 서울 전체 44만9064동의 주택 중 사용승인 이후 30년 이상된 노후주택은 37.2%에 해당하는 16만7019동으로 나타났다.

단독주택의 노후주택이 가장 많은 행정동은 4610동이 노후화된 강북구 미아동이었고, 이어 성북구 장위동(3772동), 관악구 신림동(3469동), 관악구 신림동(3469동), 강북구 수유동(3294동) 순이었다.

노후된 공동주택(아파트 포함)의 수가 가장 많은 행정동은 양천구 신월동(573동)이었으며, 마포구 아현동(398동), 관악구 봉천동(372동), 은평구 응암동(355동), 강서구 화곡동(305동) 등이 뒤를 이었다. 이 5개 동의 경우 지역 내 노후 단독주택 중 88.5%~100%가 5층 미만의 연립·다세대주택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내 행정동 중 노후된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의 개수가 공통적으로 상위 20위권 안에 들어간 행정동은 12곳이었는데, 이중 도시재생 정책이 시행되는 동은 한 군데도 없었다. 이중 강북구 수유동과 금천구 시흥동의 경우는 단독과 공동주택을 통틀어 재개발, 재건축, 도시환경정비, 도시재생 등 어떤 종류의 정비정책도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동별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의 노후도를 분리해서 살펴봐도 노후 공동주택의 수가 많은 상위 20위권에 드는 행정동 중 도시재생 정책이 시행되는 곳 역시 1곳도 없었으며, 노후 단독주택의 수가 많은 상위 20위 행정동 중 도시재생이 시행되는 곳은 성북구 장위동과 동작구 상도동 2개 동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영선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저층주거지를 중심으로 주택노후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나 현재 시행중인 정비정책만으로는 노후주거지에 대한 정비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금의 저층 주거지역 정비수요를 충족하려면 도시재생뉴딜 등의 주거환경개선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도 시행 1년 가까워져 오는데…복수의결권 도입 기업 2곳뿐 [복수의결권 300일]
  • 불륜 고백→친권 포기서 작성까지…'이혼 예능' 범람의 진짜 문제 [이슈크래커]
  • 전기차 화재 후…75.6% "전기차 구매 망설여진다" [데이터클립]
  • ‘아시아 증시 블랙 먼데이’…살아나는 ‘홍콩 ELS’ 악몽
  • “고금리 탓에 경기회복 지연”…전방위 압박받는 한은
  • 단독 ‘과징금 1628억’ 쿠팡, 공정위 상대 불복 소송 제기
  • 이강인, 두산家 5세와 열애설…파리 데이트 모습까지 포착
  • 뉴진스 뮤비 감독 "어도어, 뒤로 연락해 회유…오늘까지 사과문 올려라"
  • 오늘의 상승종목

  • 09.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5,275,000
    • +1.61%
    • 이더리움
    • 3,159,000
    • +0.99%
    • 비트코인 캐시
    • 422,400
    • +2.6%
    • 리플
    • 723
    • +0.56%
    • 솔라나
    • 176,600
    • -0.17%
    • 에이다
    • 465
    • +1.09%
    • 이오스
    • 655
    • +3.15%
    • 트론
    • 210
    • +1.94%
    • 스텔라루멘
    • 125
    • +3.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800
    • +1.33%
    • 체인링크
    • 14,650
    • +5.24%
    • 샌드박스
    • 341
    • +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