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값. 버티는 ‘신축’ 밀려난 ‘구축’

입력 2018-04-17 10:00 수정 2018-04-17 10: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이 강화된 뒤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신축아파트가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재건축 문턱이 높아져 구축 수요는 줄어든 가운데 실거주 목적의 주택 수요가 늘면서 신축의 인기는 더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17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정상화 방안을 발표한 2월 20일 이후 8주간 수도권의 연령 5년 이하 아파트 상승률은 1.08%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안전진단 강화안이 발표되기 전 8주간 1.09% 오른 것과 비교해 비슷한 양상을 유지한 것이다. 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를 본격화하며 급매물이 나오던 장세였던 점을 고려하면 신축 아파트는 꽤 선방한 셈이다.

반면 구축 아파트는 시장의 예상대로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의 직격탄을 맞은 모습이다. 안전진단 강화안 발표 이후 8주간 수도권의 연령 20년 초과 아파트는 0.29% 오르는 데 그쳤다. 이전 8주간 1.19% 오르며 신축 아파트보다도 더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실제 서울 재건축 아파트도 가격 상승세가 크게 꺾인 상황이다. 부동산114가 4월 둘째 주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재건축아파트 상승률은 0.04% 오르는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전주(0.27%)보다 상승폭이 큰 폭으로 둔화했다. 8·2 부동산 대책 발표 여파로 상승률이 낮았던 지난해 9월 이후 7개월(30주) 만에 가장 낮다.

안전진단 기준 강화의 가장 큰 희생양으로 꼽히는 서울 양천구와 노원구는 재건축 예정 단지 중심으로 한 달 사이 가격 하락을 겪고 있다. 양천의 목동신시가지5단지는 전용면적 65㎡가 2월 초 10억8000만 원에 팔리던 것이 3월 들어 10억4500만 원에 거래됐다. 노원의 상계주공9단지는 전용 49㎡가 3월 24일 3억1650만 원에 팔리며 지난달 실거래가보다 2350만 원 손해 봤다.

서울 양천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로 재건축의 사업성이 떨어진 상황에서 안전진단 문턱까지 높아졌기 때문에 오래된 아파트 수요는 자연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다주택자 규제를 늘리면서‘똘똘한 한 채’가 뜨자 주거 환경이 좋은 신축 아파트로 수요가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골드만, 경기침체 가능성 25%로 높여...“연준, 금리 올해 3차례 내린다” [미국 ‘R의 공포’ 본격화]
  • '역대 최약체' 소리까지 나왔는데…한국, 새 역사까지 금메달 '4개' 남았다 [이슈크래커]
  • 서머랠리 가고 ‘골드랠리’ 오나…패닉 증시에 안전자산으로 머니무브 [블랙 먼데이]
  • 코스피·코스닥 매도 사이드카 발동…'사이드카' 뜻은?
  • 제주도 갈 돈으로 일본 여행?…"비싸서 못 가요" [데이터클립]
  • 공개 열애 14일 만…'7살 연상연하 커플' 황정음-김종규 결별 소식
  • 단독 배우 한예슬, ‘생활약속’ 모델료 청구 소송 승소…法 “6억6000만원 지급”
  • 말로는 ‘연금개혁’, 뒤에선 압력 행사 [연금개혁의 적-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8.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3,913,000
    • -13.36%
    • 이더리움
    • 3,271,000
    • -20.08%
    • 비트코인 캐시
    • 420,000
    • -14.63%
    • 리플
    • 655
    • -14.94%
    • 솔라나
    • 168,600
    • -16.2%
    • 에이다
    • 426
    • -15.48%
    • 이오스
    • 612
    • -14.29%
    • 트론
    • 173
    • -3.89%
    • 스텔라루멘
    • 115
    • -10.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100
    • -15.37%
    • 체인링크
    • 12,290
    • -24.55%
    • 샌드박스
    • 319
    • -16.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