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부과해서라도 철강산업 살리고 싶다”

입력 2018-02-27 09: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트럼프, 24% 일괄 관세 부과 선호…알루미늄에는 10% 방안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피력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주지사들과 회동하면서 관세를 부과해서라도 철강과 알루미늄 산업을 회생시키고 싶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많은 공장이 문을 닫거나 이미 폐쇄됐다”며 “철강과 알루미늄 산업을 살리기 위해 관세 부과가 필요하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관세 부과로 우리가 치를 대가가 좀 더 생길 수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면 수입 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에게 특정 국가에 대한 고율의 관세 적용이나 일괄적인 관세 부과, 쿼터제 적용 등 3가지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무부의 보고서를 받은 후 90일 이내, 즉 오는 4월까지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조치를 취할지 결정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 측근들에 따르면 트럼프는 수입산 철강 제품에 대해서는 24%의 일괄적인 관세를,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10%를 각각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상무부 권고안 중 일괄 관세 부분은 철강 수입에 24%, 알루미늄에 7.7%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의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이날 뉴욕증시에서 철강 관련주가 고공행진을 펼쳤다. AK스틸 주가가 2.73%, US스틸이 1.95% 각각 급등했다.

트럼프는 지난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를 상무부에 지시했을 당시 해당 움직임은 중국과 관련이 없으며 단지 철강과 알루미늄은 경제는 물론 국가안보에 매우 중요해서 수입에만 의존할 수 없다는 이유를 붙였다.

그러나 중국은 이미 보복조치를 예고하고 있다. 왕허쥔 중국 상무부 무역구제조사국장은 지난 17일 성명에서 “미국의 최종 결정이 중국의 국익을 해친다면 우리는 합법적인 권리를 보호하고자 필요한 조치를 확실히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협박과 폭행·갈취 충격 고백…렉카연합·가세연, 그리고 쯔양 [해시태그]
  • 갤럭시Z 플립6·폴드6, 사전판매 시작…온·오프 최저가는 어디?
  • 이젠 최저임금 1만 원 시대…내년 1.7% 오른 1만30원 확정
  •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 반감기 시기로 회귀…“매도 주체 채굴자”
  • 끊이지 않는 반발…축구지도자협회, 홍명보 선임한 정몽규에 사퇴 요구
  • 일본 ‘방위백서’…20년 연속 ‘독도는 일본 땅’ 기술
  • 200년 만의 '극한 폭우', 깨어보니 이웃집이 사라졌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644,000
    • +1.1%
    • 이더리움
    • 4,410,000
    • +1.26%
    • 비트코인 캐시
    • 531,500
    • +7.98%
    • 리플
    • 718
    • +11.49%
    • 솔라나
    • 195,600
    • +1.77%
    • 에이다
    • 596
    • +6.05%
    • 이오스
    • 759
    • +2.99%
    • 트론
    • 198
    • +3.13%
    • 스텔라루멘
    • 141
    • +10.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650
    • +3.82%
    • 체인링크
    • 18,270
    • +3.87%
    • 샌드박스
    • 443
    • +3.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