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R&D 체질 바꾼다…생활문제 해결 R&D 투자 작년 4%→2022년 45%

입력 2018-01-30 10: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기정통부, ‘ICT R&D 혁신전략’ 발표

정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연구개발(R&D)의 체질 개선 작업에 나선다. 미세먼지나 감염병 등 생활 문제 해결을 위한 R&D 예산 투자 비중은 현재 4% 수준에서 5년 내 45%까지 끌어올리고 중소기업에 대한 R&D 중복 지원 문제도 개선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ICT R&D 혁신전략’을 내놨다. 이번 전략은 정부 주도 추격형 경제성장 패러다임의 한계를 반성하고,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에 발맞춰 ICT 기술혁신 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ICT R&D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국민생활 연구를 본격화한다. 이를 위해 도시·교통·복지·환경·안전·국방 등 6대 분야에서 국민생활 문제 해결을 위한 신규 투자 비율을 지난해 기준 4.2%에서 올해 12.5%, 내년엔 30% 수준으로 높이고 2022년엔 45%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그동안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대부분이 산업 육성 등을 뒷받침하는 데 치중해왔다면, 앞으로는 국민들이 정부의 R&D 투자 혜택을 피부로 느낄수 있도록 △미세먼지, 녹조와 같은 환경 문제 △조류 인플루엔자(AI), 구제역과 같은 감염병 문제 △도로나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안전 문제 등을 과학기술로 풀어보겠다는 얘기다. 그 일환으로 내년부터 R&D에 실수요자가 참여하는 혁신모델인 ‘리빙랩’도 도입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단기 상용화 기술이 아닌 민간에서 쉽게 할 수 없는 도전적·고위험 기술개발에 대한 신규 투자 비중도 지난해 6.2% 수준에서 2022년까지 35%로 끌어올릴 계획도 세웠다. 장기적으로 기술이 축적될 수 있도록 연구실 지원 기간도 평균 3년에서10년 이상으로 늘릴 방침이다.

중소기업 R&D의 경우 정부출연금 의존 기업(한계기업)만을 양산했다는 지적에 따라 혁신적 연구가 상용화될 수 있도록 효율화를 꾀한다. 이를 위해 ICT R&D 전용펀드를 만들고 구매를 조건으로 한 R&D를 추진하는 한편, 참여 횟수를 제한하는 ‘R&D 졸업제’도 도입한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R&D 관련 고용창출을 위해 ICT R&D 체계를 고용친화적으로 개편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R&D 사업 선정 평가 시 고용 우수기업에 가점을 주고 인력을 신규 채용하면 사업화 단계에서 납부해야 하는 기술료 부담을 낮춰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무용지물' 전락한 청년월세대출…올해 10명 중 2명도 못 받았다
  • 부상 딛고 포효한 안세영인데…"감사하다" vs "실망했다" 엇갈린 소통 [이슈크래커]
  • 블라인드로 뽑은 트래블 체크카드 1위는?…혜택 총정리 [데이터클립]
  • “정규장인데 美주식 거래가 안 돼요”…뜬눈으로 밤새운 서학개미
  • 증시 폭락장에 베팅…곱버스로 몰렸다
  • 이기는 법을 잊었다…MLB 화이트삭스, 충격의 21연패
  • 2번의 블랙데이 후 반등했지만···경제, 지금이 더 위험한 이유 3가지
  • '작심발언' 안세영 "은퇴로 곡해 말길…선수 보호 고민하는 어른 계셨으면"
  • 오늘의 상승종목

  • 08.0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9,264,000
    • +9.76%
    • 이더리움
    • 3,524,000
    • +10.19%
    • 비트코인 캐시
    • 450,000
    • +9.46%
    • 리플
    • 725
    • +13.81%
    • 솔라나
    • 200,300
    • +23.57%
    • 에이다
    • 467
    • +13.08%
    • 이오스
    • 649
    • +8.17%
    • 트론
    • 177
    • +4.12%
    • 스텔라루멘
    • 129
    • +17.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050
    • +9.97%
    • 체인링크
    • 14,360
    • +20.47%
    • 샌드박스
    • 349
    • +12.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