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금융-광주銀 이원체제 본격화…김한 회장 과제는?

입력 2017-09-27 09: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JB금융지주와 광주은행 간 이원체제가 본격화했다. 앞으로 김한 회장은 지주사 수장으로서 평가받게 됐다.

JB금융 계열사인 광주은행은 27일 송종욱 은행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로써 김 회장이 은행장을 겸직했던 광주은행은 내부 출신 인물이 이끌게 됐다.

앞서 JB금융과 광주은행은 지난달 23일, 28일 각각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어 지주 회장과 광주은행장 분리 인선을 결정했다. 그동안 김 회장은 성장 중심의 외형 확대와 조직 안정화를 위해 광주은행장을 함께 맡아 왔다.

우선 김 회장 앞에는 JB금융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해야 하는 숙제가 있다.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규모의 경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김 회장은 JB우리캐피탈 인수를 시작으로 광주은행, JB자산운용의 계열회사 편입을 통해 그룹의 덩치를 키워왔다.

김 회장은 내실 경영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평소 계열사들에 이자수익에 편중된 수익구조에서 벗어나 부문별 경쟁력을 높여 수익성을 강화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JB금융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도 당면 과제다.

김 회장은 동남아시아,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 신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JB금융은 전북은행과 JB우리캐피탈을 통해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을 인수했고 미얀마 현지 법인, 베트남 대표사무소 개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펼치고 있다.

디지털 금융 패러다임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P2P(개인 간 금융) 대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원리금 수취 권한 모델을 공동 개발하는 등 핀테크 업체들과의 협력도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김 회장은 안정적인 지배구조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켜야 할 부담을 안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지주 회장과 은행장을 분리했지만 각각의 책임과 권한에 대한 명확한 구분 없이 성급하게 이뤄진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각종 불미스러운 일로 지방은행들의 지주회장ㆍ행장 분리가 급격히 이뤄지고 있는데 제대로 된 준비과정이 없으면 오히려 권력 다툼의 불씨만 제공할 수 있다”면서 “JB금융이 상대적으로 순리대로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가 있는 만큼 김 회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협박과 폭행·갈취 충격 고백…렉카연합·가세연, 그리고 쯔양 [해시태그]
  • 갤럭시Z 플립6·폴드6, 사전판매 시작…온·오프 최저가는 어디?
  • 이젠 최저임금 1만 원 시대…내년 1.7% 오른 1만30원 확정
  •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 반감기 시기로 회귀…“매도 주체 채굴자”
  • 끊이지 않는 반발…축구지도자협회, 홍명보 선임한 정몽규에 사퇴 요구
  • 일본 ‘방위백서’…20년 연속 ‘독도는 일본 땅’ 기술
  • 200년 만의 '극한 폭우', 깨어보니 이웃집이 사라졌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563,000
    • +0.95%
    • 이더리움
    • 4,400,000
    • +0.41%
    • 비트코인 캐시
    • 530,500
    • +7.17%
    • 리플
    • 682
    • +6.73%
    • 솔라나
    • 196,100
    • +1.19%
    • 에이다
    • 581
    • +2.47%
    • 이오스
    • 742
    • +0%
    • 트론
    • 196
    • +3.16%
    • 스텔라루멘
    • 131
    • +3.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600
    • +3.83%
    • 체인링크
    • 18,080
    • +2.09%
    • 샌드박스
    • 437
    • +2.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