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저축銀, 신용대출 13조원…’저축은행 사태’ 넘었다

입력 2017-07-14 09:15 수정 2017-07-14 1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저축은행들의 신용대출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11년래 처음으로 13조 원을 돌파했다. 저축은행 대출은 저소득 차주들이 많은 만큼 향후 상환에 차질이 생길 경우 저축은행은 물론 한국 경제에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이투데이가 저축은행중앙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저축은행 79곳의 신용대출은 13조5195억 원으로 통계치가 공개된 2006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전으로, 여신액 자체가 최고점을 찍었던 2010년 6월 신용대출액(12조296억 원)보다 많은 수치다.

저축은행 총 대출액은 2010년 6월이 62억3771억원 최고점에서 올해 3월 45조6247억원으로 줄었다.

전체 대출액에서 신용대출이 차지는 비중도 30%에 육박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신용대출 비중은 29.6%로, 대출규모가 가장 컸던 2010년 6월(19.3%)보다 10%포인트 이상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저축은행들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담보대출은 급격히 줄였다. 저축은행 담보대출은 2010년 6월 기준 50조3295억 원으로 최고점을 찍었지만 올해 1분기 기준 27조6045억 원으로 반토막 났다.

11년래 저축은행 신용대출이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저축은행 사태 이후 시장에 새롭게 진입한 대부업체 저축은행(OK저축은행, 웰컴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신용대출을 늘렸기 때문이다. 담보대출이 감소한 것은 저축은행들이 2011년 저축은행 사태를 촉발시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줄여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문제는 저축은행 차주 상당수가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저소득층인 데다 20% 고금리 대출자가 많은 만큼 향후 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저축은행들은 3월 기준 신용, 담보 대출을 포함한 가계대출도 19조8535억 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대출은 25조2191억 원을 기록했다.

이재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담보대출이 줄고, 대부업체들이 시장에 진입하면서 신용대출이 증가했다”며 “신용대출이 20%가 넘는 고금리라 부실 리스크가 크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도 시행 1년 가까워져 오는데…복수의결권 도입 기업 2곳뿐 [복수의결권 300일]
  • 불륜 고백→친권 포기서 작성까지…'이혼 예능' 범람의 진짜 문제 [이슈크래커]
  • 전기차 화재 후…75.6% "전기차 구매 망설여진다" [데이터클립]
  • ‘아시아 증시 블랙 먼데이’…살아나는 ‘홍콩 ELS’ 악몽
  • “고금리 탓에 경기회복 지연”…전방위 압박받는 한은
  • 단독 ‘과징금 1628억’ 쿠팡, 공정위 상대 불복 소송 제기
  • 이강인, 두산家 5세와 열애설…파리 데이트 모습까지 포착
  • 뉴진스 뮤비 감독 "어도어, 뒤로 연락해 회유…오늘까지 사과문 올려라"
  • 오늘의 상승종목

  • 09.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5,669,000
    • +2.52%
    • 이더리움
    • 3,153,000
    • +1.71%
    • 비트코인 캐시
    • 424,100
    • +3.26%
    • 리플
    • 724
    • +1.12%
    • 솔라나
    • 176,200
    • +0.69%
    • 에이다
    • 465
    • +2.2%
    • 이오스
    • 655
    • +4.3%
    • 트론
    • 210
    • +1.45%
    • 스텔라루멘
    • 125
    • +3.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600
    • +2.67%
    • 체인링크
    • 14,200
    • +2.23%
    • 샌드박스
    • 340
    • +2.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