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 서정선 바이오협회장 "바이오 총괄 정부부처 신설 필요"

입력 2017-01-20 17: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7년 바이오산업계 신년하례회서 제안

서정선 바이오협회장이 20일 국내 바이오산업을 총괄할 독립적인 정부부처 신설을 요구하고 나섰다. 산업부 미래부 복지부 등 각 부서에 산재해 있는 바이오 관련 업무를 하나로 통합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서 회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호텔에서 열린 2016년 바이오산업계 신년하례회에서 "격변하는 바이오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콘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면서 이 같이 주장했다.

그는 "지금처럽 바이오를 각 부처가 나눠 진행하다보면 보다 통합적이고 거시적인 흐름과 스피드를 놓치기 쉽다"고 덧붙였다. 영국의 생명과학청과 같은 부처를 그 대안으로 제시했다.

서 회장은 올해 바이오산업의 화두로 스피드, 인재양성, 스타트업 육성, 한중일 바이오 이니셔티브 가속화 등 4가지를 꼽았다.

그는 특히 "바이오는 늘 슬로우 산업으로 투자를 통해 산업을 키워왔다"면서 "(이제는) 바이오산업계에서 연 매출 1000억원을 달성하는 기업이 10개 이상 나올 수 있도록 업계가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오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앞으로 10년동안 10만명의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그는 "바이오아케데미를 통해 정부와 바이오협회가 바이오헬스분야에서 의학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10만명의 데이터사이언티스트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바이오생태계를 풍부하게 할 '스타트업 1000' 육성 사업도 올해 본격화한다. 특히 서 회장은 이날 젠스토리 마이지놈박스, 쓰리빌리온즈, 폴루스 등을 혁신적인 스타트업 기업으로 소개했다.

바이오협회가 주도하는 한중일 바이오이니셔티브의 가속화도 필요하다. 그는 "한중일을 넘어 아시아 바이오 이니셔티브를 우리나라가 주도해 갈 수 있도록 각국의 바이오기관들과 협력해 우리 기업들에게 보다 많은 글로벌 비지니스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마지막으로 "국내외 환경이 좋지 않다고 머뭇거리기보다는 힘을 내서 도전해야 할 때"라면서 "도전 정신으로 기업가치를 키우고 채용과 투자를 늘려나가 세계 속 한국 바이오파워를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K-코인 신화 위믹스…신화와 허구 기로에 섰다 [위메이드 혁신의 민낯]
  • [르포]유주택자 대출 제한 첫 날, 한산한 창구 "은행별 대책 달라 복잡해"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11시 월드컵 3차예선 오만전…중계 어디서?
  • 연세대 직관 패배…추석 연휴 결방 '최강야구' 강릉고 결과는?
  • 제도 시행 1년 가까워져 오는데…복수의결권 도입 기업 2곳뿐 [복수의결권 300일]
  • 불륜 고백→친권 포기서 작성까지…'이혼 예능' 범람의 진짜 문제 [이슈크래커]
  • 전기차 화재 후…75.6% "전기차 구매 망설여진다" [데이터클립]
  • “고금리 탓에 경기회복 지연”…전방위 압박받는 한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9.10 10:4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7,064,000
    • +2.94%
    • 이더리움
    • 3,175,000
    • +1.37%
    • 비트코인 캐시
    • 434,800
    • +4.19%
    • 리플
    • 726
    • +1.11%
    • 솔라나
    • 180,800
    • +2.49%
    • 에이다
    • 462
    • -1.91%
    • 이오스
    • 666
    • +2.15%
    • 트론
    • 208
    • -0.48%
    • 스텔라루멘
    • 126
    • +2.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00
    • +3.39%
    • 체인링크
    • 14,120
    • +0.21%
    • 샌드박스
    • 342
    • +2.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