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멘트, 매각 속도낸다…출자전환 합의로 걸림돌 제거

입력 2016-07-27 09:16 수정 2016-07-27 14: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파이시티 대주단 600만주 출자전환, 내달 초 합의서 작성… 9월 매각 본격화

현대시멘트가 연대 보증한 양재복합유통 파이시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대주단이 출자전환에 합의하면서 이 회사의 매각에 속도가 붙게 됐다.

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하나UBS자산운용, NH농협은행, 우리은행 등 파이시티 대주단은 현대시멘트의 금융보증계약부채 3300억 원 중 1400억 원 가량을 출자전환하기로 했다. 주식으로는 600만주 규모로 주당 출자전환 가격은 2만3000~2만4000원 수준이다.

대주단 관계자는 “현재 세부적인 사항을 논의하고 있다”며 “다음달 초중순에는 출자전환과 관련한 최종 합의서를 작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시멘트는 그동안 보증부채 중 출자전환이 가능한 물량이 확정되지 않으면서 매각이 지체됐다.

반면 파이시티 대주단 중 한 곳인 리치몬드자산운용은 출자전환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 회사는 반대매수 청구권을 행사할 계획이다. 금액으로는 700억 원 규모다.

그러나 출자전환에 동의하지 않은 일부 대주단과 소송과 연관된 보증채무를 제외해도 현대시멘트의 경영권 매각은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출자전환이 완료되면 산업은행, NH투자증권 등 현대시멘트 채권단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포함해 모두 1600만주의 주주가 확정된다. 이는 현대시멘트의 총 주식 수 2000만 주의 80%에 해당하는 규모다. 1600만 주 이외에 300만~400만주는 소송 현안이 끝난 뒤에 주주가 정해진다.

현대시멘트 채권단은 파이시티 대주단의 출자전환이 완료되는 직후 이 회사의 매각주관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상반기 매각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채권단이 보유한 현대시멘트 지분은 연말까지 매도 제한(락업)이 걸려있다. 현대시멘트의 매각 가격은 7000억 원 안팎이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파이시티 사업에 참여한 현대시멘트는 해당 사업이 무산되면서 2010년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들어갔었다. 현대시멘트의 계열사이자 파이시티 시행사였던 성우종합건설은 지난달 법원으로부터 회생계획을 인가받았다. 현대시멘트의 현재 대주주는 산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운하 강타한 기상이변...세계 경제안보 '흔들' [기후가 삼킨 글로벌 공급망]
  • 뉴진스 하니·한강 패러디까지…"쏟아지는 '복붙' 예능, 이젠 피로해요" [이슈크래커]
  • 부행장 16人, 현장서 키운 전문성으로 우뚝 서다[은행의 별을 말한다 ⑱끝]
  • 2025년 최고의 갓성비 여행지 10곳은? [데이터클립]
  • 단독 쿠팡 몰래 유관회사 차려 35억 챙긴 직원...법원 "손해배상 해야"
  • 축구 국가대표 수비수 김민재, 결혼 4년 만에 이혼
  • 의대교수들 “2025학년도 정시부터 정원 3058명에 맞게 감원 선발해야”
  • 버드와이저ㆍ호가든 등 수입맥주 6종, 내달 평균 8% 인상
  • 오늘의 상승종목

  • 10.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964,000
    • -0.8%
    • 이더리움
    • 3,673,000
    • -1%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0.2%
    • 리플
    • 751
    • +1.21%
    • 솔라나
    • 229,700
    • +2.77%
    • 에이다
    • 498
    • +0.61%
    • 이오스
    • 678
    • -1.17%
    • 트론
    • 218
    • +1.87%
    • 스텔라루멘
    • 132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600
    • -2.45%
    • 체인링크
    • 16,190
    • +0%
    • 샌드박스
    • 383
    • -1.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