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10곳 중 7곳이 외부 기술·지식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부 기술과 지식을 실제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절반에 그쳤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업 380개사를 대상으로 ‘외부 기술·지식 활용실태와 시사점’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71.1%가 ‘변화와 혁신을 위해 경영활동에 외부 기술·지식을 활용할 필요성을 느낀다’고 밝혔다. ‘보통이다’라고 답한 기업은 24.2%, ‘필요없다’는 4.7%를 기록했다.
그러나 고객아이디어를 통해 제품을 개발하거나 연구소·학계 등과 공동으로 연구개발, 제품기획을 하는 등 외부 기술과 지식을 실제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절반 수준인 49.2%에 불과했다. 이는 선진기업에 비해서 30%p가량 떨어지는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제약·의료’(61.0%), ‘고무·플라스틱’(57.1%)은 외부 기술·지식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많았지만 ‘철강·금속’(30.0%), ‘조선·플랜트’(29.4%)는 적었다.
상의는 “R&D 비중이 높고 특허가 핵심경쟁력이 되는 제약산업과 소재산업에서 외부 기술·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반면 현장의 축적된 노하우나 공정운영의 효율성이 더 중시되는 철강산업, 조선산업은 활용도가 낮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외부기술을 활용하는 기업들은 시장점유율 상승, 생산성 제고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성과를 묻는 질문에 ‘신제품 출시, 틈새수요 선점 등으로 시장점유율이 상승했다’는 기업이 37.5%였고, ‘원가절감, 제조기간 단축으로 인한 생산효율이 증가했다는 기업은 33.9%로 조사됐다.
활용분야로는 전체의 30.7%가 ‘기초연구’로 답했고, ‘시제품 테스트’(28.2%), ‘제품양산’(16.3%), ‘생산프로세스’(11.4%), ‘기획’(6.9%), ‘판매·마케팅’(5.9%)을 차례로 들었다. <기타 0.6%>
협력방식에 대해서는 ‘공동연구’(49.8%)’로 진행한다는 기업이 가장 많았고, ‘제품사용자 의견수렴’(22.5%), ‘위탁연구’(18.0%), ‘기술구매’(6.8%)가 차례로 뒤를 이었다.
외부 기술·지식 활용에서 주요 파트너는 ‘협력기업’(31.8%), ‘대학’(26.2%), ‘국책연구소’(15.9%), ‘소비자·제품사용자’(11.2%), ‘컨설팅 기관’(9.4%) 등의 순이었다. <기타 5.5%>
대한상의는 “우리 기업의 외부 파트너는 협력사와 대학에 집중되어 있다”면서 “중국 휴대폰 제조사인 샤오미(小米)가 위탁생산방식으로 전문제조기업인 폭스콘의 생산기술을 활용하고 홈페이지나 SNS를 통해 사용자 반응을 수렴해 제품혁신의 원천으로 삼는 것처럼 우리기업도 협력파트너의 범위를 지금보다 더 넓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