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22일 방미...G2, 무슨 얘기 나눌까

입력 2015-09-10 08: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제 문제 핵심, 중국 경기둔화 대처방안 집중 논의될 듯…시장혼란에 개혁 후퇴할까 우려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12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나서 기자회견 중에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신화뉴시스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12일(현지시간)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나서 기자회견 중에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신화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국빈방문을 앞두고 중국경제 문제가 미국과 중국 주요 2개국(G2)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고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시 주석은 오는 22일 미국에 도착해 먼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아마존 본사가 있는 시애틀에서 기업인들과 환담한다. 중국은 23일 시 주석의 방문을 활용해 ‘미·중 인터넷 산업포럼’도 개최할 계획이다.

이후 24일께 워싱턴에 도착해 이틀간 머물면서 시 주석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시 주석의 방미 일정은 28일 뉴욕 유엔총회 일정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 기회를 활용해 시 주석에게 수출과 투자에서 내수 중심으로의 경제성장 모델 전환 등 개혁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과 환율정책을 둘러싼 G2의 갈등이 커졌기 때문에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이 나올지도 주목된다.

그러나 가장 큰 이슈는 중국의 경기둔화와 증시혼란으로, 이에 어떻게 대처할지가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WSJ는 전했다. 외교 소식통들에 따르면 백악관은 현재 중국에 대해 두 가지 점을 가장 크게 우려하고 있다. 우선 중국 경기둔화가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고 이제 막 회복하려는 미국 경제에도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경제혼란에 대처하고자 중국이 통제를 강화하면서 시장에 더 큰 역활을 맡기고 해외투자자들에 문호를 개방하려는 개혁이 후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테드 트루먼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이번 방미를 앞두고 부각되는 가장 큰 우려는 개혁의 후퇴, 또는 중국 정부가 개혁을 시행할 동기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미국 재무부 고위 관리는 “이제 중국 정책결정자들은 자신의 정책 의도가 무엇인지, 또 그들이 어느 선까지 할 수 있는지, 정책방향은 어디로 가는지 등을 놓고 의사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양국의 투자보장협정(BIT) 등 현재 교착상태에 있는 주요 경제이슈가 이번 시 주석의 방미를 통해 해결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무용지물' 전락한 청년월세대출…올해 10명 중 2명도 못 받았다
  • '역대 최약체' 소리까지 나왔는데…한국, 새 역사까지 금메달 '4개' 남았다 [이슈크래커]
  • 당정, '티메프' 사태에 “이커머스 정산기한 도입...5000억 긴급 공급” [종합]
  • “정규장인데 美주식 거래가 안 돼요”…뜬눈으로 밤새운 서학개미
  • 제주도 갈 돈으로 일본 여행?…"비싸서 못 가요" [데이터클립]
  • 영구결번 이대호 홈런…'최강야구' 롯데전 원정 직관 경기 결과 공개
  • 2번의 블랙데이 후 반등했지만···경제, 지금이 더 위험한 이유 3가지
  • '작심발언' 안세영 "은퇴로 곡해 말길…선수 보호 고민하는 어른 계셨으면"
  • 오늘의 상승종목

  • 08.06 14: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9,500,000
    • +5.56%
    • 이더리움
    • 3,581,000
    • +9.44%
    • 비트코인 캐시
    • 461,000
    • +8.06%
    • 리플
    • 727
    • +7.86%
    • 솔라나
    • 201,200
    • +15.7%
    • 에이다
    • 468
    • +6.85%
    • 이오스
    • 660
    • +8.02%
    • 트론
    • 176
    • +2.33%
    • 스텔라루멘
    • 129
    • +1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650
    • +6.98%
    • 체인링크
    • 14,350
    • +9.21%
    • 샌드박스
    • 355
    • +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