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8% “고도성장 원동력은 국민 의지”

입력 2015-08-12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전경련)

국민들의 절반 이상이 우리나라의 고도 성장을 가능케 한 원동력으로 국민들의 잘 살아보려는 의지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1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광복 70주년 기념 한국 경제사 관련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8.8%가 고도 성장의 원동력으로 ‘잘 살아보겠다는 의지’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남다른 교육열에 기반한 인재양성’(14.4%), ‘정치적 리더십과 체계적인 정부 정책’(11.1%), ‘도전과 혁신의 기업가정신’(8.8%) 순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전경련)

경제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한 사건으로는 응답자의 38.6%가 ‘새마을운동’을 꼽았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32.5%)과 ‘88올림픽’(15.8%)이 뒤를 이었다.

산업화 이후 한국 경제의 가장 큰 위기로는 응답자의 절반인 50%가 ‘1997년 IMF 외환위기’라고 답변했다. 뒤이어 ‘최근 경기침체와 저성장’이라는 응답이 33.1%를 차지해, 현재 경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다수 응답자들은 현재 우리나라 경제가 ‘중진국(40.9%)’ 또는 ‘중상위권(34.2%)’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선진국 진입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절반 정도의 국민이 ‘예측 곤란(48.0%)’ 이라고 응답해, 선진국 진입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전경련)

한국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국가상으로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나라’를 꼽은 응답자가 43.4%로 가장 많았다. ‘민주주의가 성숙한 나라’(33.0%)라는 답이 뒤를 이었다. 또 우리 경제가 도약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37.8%가 ‘청년 취업 등 일자리 창출’이라고 답해, 청년 실업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번 조사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산업화 이후 한국의 경제사를 되짚어 보자는 취지에서 진행됐다. 전경련 박찬호 전무는 “우리나라 고도성장은 국민들의 의지와 교육열을 바탕으로 기업과 정부가 다함께 합심하여 이루어낸 성과”라며 “우리 경제가 직면한 난관을 해결하고 선진국 반열에 오르기 위해 제2의 새마을운동, 제2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같은 구심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협박과 폭행·갈취 충격 고백…렉카연합·가세연, 그리고 쯔양 [해시태그]
  • 갤럭시Z 플립6·폴드6, 사전판매 시작…온·오프 최저가는 어디?
  • 이젠 최저임금 1만 원 시대…내년 1.7% 오른 1만30원 확정
  •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 반감기 시기로 회귀…“매도 주체 채굴자”
  • 끊이지 않는 반발…축구지도자협회, 홍명보 선임한 정몽규에 사퇴 요구
  • 일본 ‘방위백서’…20년 연속 ‘독도는 일본 땅’ 기술
  • 200년 만의 '극한 폭우', 깨어보니 이웃집이 사라졌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646,000
    • +1.01%
    • 이더리움
    • 4,410,000
    • +1.26%
    • 비트코인 캐시
    • 531,500
    • +7.98%
    • 리플
    • 715
    • +11.02%
    • 솔라나
    • 195,700
    • +1.82%
    • 에이다
    • 596
    • +6.05%
    • 이오스
    • 759
    • +3.41%
    • 트론
    • 197
    • +2.6%
    • 스텔라루멘
    • 140
    • +9.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650
    • +3.82%
    • 체인링크
    • 18,270
    • +3.87%
    • 샌드박스
    • 443
    • +3.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