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유가 하락에 국영 석유기업 통폐합 검토

입력 2015-02-18 14: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엑손모빌 능가하는 초대형 기업 탄생…경영 효율화 극대화 의도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엑손모빌을 능가하는 초대형 석유기업 탄생을 위한 통폐합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중국 헤이룽장성에 있는 CNPC의 다칭유전. 블룸버그

중국 정부가 국영 석유기업 통폐합을 검토하고 있다고 17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이는 국제유가 하락 환경 속에 엑손모빌과 같은 초대형 기업을 탄생시켜 경영 효율화를 극대화하려는 의도라고 신문은 풀이했다.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와 가장 큰 라이벌인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의 통합을 검토하고 있다. 다른 옵션으로는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와 중국중화집단공사(시노켐그룹)를 합병하는 방안도 있다고 WSJ는 전했다.

아직 언제 어떤 식으로 합병이 이뤄질지 세부사항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이들 4대 중국 석유업체와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모두 통폐합 관련 문의에 언급을 회피하거나 응답하지 않았다고 WSJ는 전했다.

전문가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더 크고 강력한 국영기업 육성을 중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경기둔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해외에서 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국영기업들의 규모를 키우려 한다는 것.

합병은 또 과잉생산으로 인한 부담을 덜고 지나친 가격경쟁을 줄여 경영효율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지난해 중국 정부는 양대 국영 철도차량업체를 통합해 독일 지멘스나 캐나다의 봄바르디어 같은 해외업체와 경쟁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과거 중국 4대 석유업체는 각자 특화된 영역이 있었다. 예를 들어 CNPC는 석유탐사와 생산, 시노펙은 정유에 초점을 맞추는 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15년간 개혁정책의 일환으로 국영기업의 경쟁을 장려하면서 이들은 상대방의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했다.

이제 중국 업체들끼리 싸우는 일이 빈번해지자 이는 인력과 자원낭비라고 본 정부가 다시 산업구조를 재편하려는 것이다. 이런 비효율성은 국제유가가 지난해 6월 이후 반토막난 이후 더 뚜렷해져 합병 필요성이 커졌다고 WSJ는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4 여의도 서울세계불꽃축제' 숨은 명당부터 사진 찍는 법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원영 공주님도 들었다고?"…올가을 트렌드, '스웨이드'의 재발견 [솔드아웃]
  • '50-50' 대기록 쓴 오타니 제친 저지, 베이스볼 다이제스트 'MLB 올해의 선수'
  • "오늘 이 옷은 어때요?"…AI가 내일 뭐 입을지 추천해준다
  • “이스라엘, 헤즈볼라 수장 후계자 겨낭 공습 지속…사망 가능성”
  • "아직은 청춘이죠"…67세 택배기사의 하루 [포토로그]
  • 뉴욕증시, ‘깜짝 고용’에 상승…미 10년물 국채 금리 4% 육박
  • 끊이지 않는 코인 도난 사고…주요 사례 3가지는?
  • 오늘의 상승종목

  • 10.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000,000
    • +1.66%
    • 이더리움
    • 3,273,000
    • +2.19%
    • 비트코인 캐시
    • 437,600
    • +1.3%
    • 리플
    • 719
    • +1.99%
    • 솔라나
    • 194,900
    • +3.51%
    • 에이다
    • 478
    • +1.27%
    • 이오스
    • 641
    • +1.26%
    • 트론
    • 208
    • -2.35%
    • 스텔라루멘
    • 125
    • +2.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00
    • +1.88%
    • 체인링크
    • 15,340
    • +3.3%
    • 샌드박스
    • 344
    • +2.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