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준호의 세계는 왜?] 태블릿의 몰락 조짐, 그 이유는?

입력 2015-02-03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故) 스티브 잡스 애플 설립자가 지난 2010년 1월 27일(현지시간) 아이패드를 공개하고 있다. 블룸버그

애플이 지난 2010년 4월 아이패드를 출시하면서 태블릿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제품이 세상에 등장했습니다.

스마트폰과 거의 기능이 비슷한데 팔리겠냐는 냉담한 반응이 무색하게도 태블릿은 빠르게 성장해왔습니다. 그러나 4년 만에 태블릿이 벌써 쇠퇴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지난해 4분기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이 7610만대로 전년보다 3.2% 감소했다고 발표했지요. 다른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7830만대로 1% 늘었다고 추산했지만 두자릿수를 기록하던 태블릿의 성장세가 꺾인 것만은 분명해 보입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지난해 10월 기사에서 사람들이 더 이상 태블릿을 사지 않는 이유 5가지를 소개했습니다. △아무도 태블릿으로 무엇을 해야할 지 모른다 △패블릿이야말로 소비자가 원하던 최적의 기기 △구매 주기가 TV처럼 길어지고 있다 △ 앱이 충분하지 않다 △애플과 경쟁할 상대가 없다 등입니다.

정말 태블릿의 몰락을 간단 명료하게 잘 설명해주고 있는데요. 애플이 대형화면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스를 내놓자마자 태블릿 판매가 줄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인터넷 검색, 앱 이용, 영화와 책 감상 등 태블릿이 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스마트폰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애플에 충성하는 소비자들은 아이폰6 출현으로 대형화면에 대한 갈증을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태블릿이 넷북과 카메라처럼 몰락의 길을 걷게 되는 것일까요. 저는 위의 이유에도 불구하고 태블릿이 살아날 길은 분명히 있다고 믿습니다. 물론 혁신이 동반돼야 하겠지만요.

고 스티브 잡스가 아이패드를 통해 꿈꿨던 것은 교육혁명이었습니다. 학생들이 교과서와 문제집을 무겁게 들고다닐 필요 없이 태블릿 하나 만으로 공부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입니다. 태블릿을 가장 많이 쓰는 직업 중에 의사도 꼽히고 있습니다. 차트 대신에 태블릿을 들고 다니며 진찰에 요긴하게 쓰는 것이지요.

태블릿의 몰락을 막으려면 용도를 확실히 정해서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골드만, 경기침체 가능성 25%로 높여...“연준, 금리 올해 3차례 내린다” [미국 ‘R의 공포’ 본격화]
  • '역대 최약체' 소리까지 나왔는데…한국, 새 역사까지 금메달 '4개' 남았다 [이슈크래커]
  • 서머랠리 가고 ‘골드랠리’ 오나…패닉 증시에 안전자산으로 머니무브 [블랙 먼데이]
  • 코스피·코스닥 매도 사이드카 발동…'사이드카' 뜻은?
  • 제주도 갈 돈으로 일본 여행?…"비싸서 못 가요" [데이터클립]
  • 공개 열애 14일 만…'7살 연상연하 커플' 황정음-김종규 결별 소식
  • 단독 배우 한예슬, ‘생활약속’ 모델료 청구 소송 승소…法 “6억6000만원 지급”
  • 말로는 ‘연금개혁’, 뒤에선 압력 행사 [연금개혁의 적-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8.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5,727,000
    • -11.29%
    • 이더리움
    • 3,339,000
    • -18.38%
    • 비트코인 캐시
    • 428,100
    • -12.99%
    • 리플
    • 671
    • -13.08%
    • 솔라나
    • 174,000
    • -13.43%
    • 에이다
    • 435
    • -13.86%
    • 이오스
    • 627
    • -12.43%
    • 트론
    • 173
    • -4.42%
    • 스텔라루멘
    • 118
    • -8.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00
    • -14.02%
    • 체인링크
    • 12,880
    • -21.08%
    • 샌드박스
    • 325
    • -15.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