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투자협회가 25일 하반기 국내외 채권시장 전망을 살펴보고 투자전략을 모색하는 채권포럼을 25일 개최했다. 장기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물가 상승세로 채권시장의 위험관리 흐름이 지속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채권시장 분석을 맡은 박태근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2분기에는 미국의 1조9000억 달러의 경기부양책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라며 "선진국의 코로나 집단면역 이후 소비회복과 기저효과와 함께 장기적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물가 상승세로 채권시장의 위험관리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금리상승 재료를 미리 반영한 상황에선 2분기 후반부터 물가 기저효과가 완화될 수 있다"면서 "국제유가 등이 반락한다면 저가매수 심리가 다소 회복될 수 있다. 매수 관점에서 주목되는 이슈에는 미 연준을 비롯한 정책당국의 스탠스, 증세부각, 그리고 지정학 리스크 등이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하이일드채권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미국 채권의 경우 투자등급 대비 경기부양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이라며 "금리 변동성 및 통화가치의 상대적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는 중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 국가로도 관심이 이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아울러 통화 다변화 및 포트폴리오 투자자들에게는 국내외 채권 ETF를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단기 액티브 투자, 중장기(EMP) 투자 등을 예시로 들었다.
국내 채권시장을 분석한 문홍철 DB금융투자 파트장은 “미 연준의 긴축적 스탠스가 실질금리 상승세로 이어질 수 있다"며 "주요 선거를 앞둔 국내에선 적자국채 물량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금리에 대해선 “한두 달의 시계에서 중단기물은 수급불균형으로 금리가 비정상적으로 오른 면이 있다"면서 "과거 스프레드 평균 부근까지 금리가 하향안정될 여지가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보수적인 투자 스탠스를 조언하면서 "시간가치와 스프레드 매력도가 높은 영역으로 접근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