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가계대출 6.6조↑…'풍선효과' 2금융권 대출 폭증

입력 2024-11-1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위원회 10월 가계대출 동향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도 증가폭 늘어

가계부채를 잡기 위한 금융당국의 관리 압박에도 10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권의 가계대출 수요가 2금융권으로 쏠리는 이른바 '풍선효과'로 2금융권의 가계대출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11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 10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6조6000억 원 증가했다. 전월(5조3000억 원)대비 증가폭이 확대된 것으로 2금융권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늘은 것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주택담보대출은 5조5000억 원 증가하며 전월(6조8000억 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이 6조1000억 원에서 3조6000억 원으로 축소세를 이어간 반면, 기타대출은 은행권(-5000억 원→3000억 원)과 제2금융권(-1조 원→8000억 원) 모두 증가 전환해 총 1조1000억 원 증가했다.

업권별로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9000억 원 증가해, 전월(5조6000억 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정책성 대출의 증가폭은 전월 수준을 유지(2조1000억 원)했으나, 은행권 자율관리 강화 등에 따라 은행 자체 주담대가 전월 대비 축소(4조 원→1조5000억 원)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기업공개(IPO) 청약 수요 등 영향으로 증가 전환(-5000억 원→3000억 원)했다.

특히 2금융권 가계대출이 2조7000억 원 증가해, 전월(-3000억 원) 대비 크게 증가했다. 주담대(7000억 원→1조9000억 원)는 집단대출 위주로 증가했으며, 기타대출(-1조 원→8000억 원)은 카드론, 보험계약대출 위주로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권(9000억 원), 여전사(9000억 원), 보험(5000억 원), 저축은행(4000억 원) 순으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두달 남은 기간에도 강화된 가계부채 관리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필요시 증가세가 확대된 업권 및 금융회사 등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취급실태 등 점검하며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832,000
    • +3.09%
    • 이더리움
    • 4,685,000
    • +8.25%
    • 비트코인 캐시
    • 679,000
    • +10.14%
    • 리플
    • 1,623
    • +5.73%
    • 솔라나
    • 358,700
    • +9.09%
    • 에이다
    • 1,114
    • -2.11%
    • 이오스
    • 912
    • +3.87%
    • 트론
    • 280
    • +1.45%
    • 스텔라루멘
    • 342
    • -1.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150
    • -2.2%
    • 체인링크
    • 20,930
    • +3%
    • 샌드박스
    • 482
    • +2.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