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의 무게에 짓눌린 기업 신용, “기업부채발 위기가 더 잔혹”[빚의 무게에 눌린 기업신용]②

입력 2024-05-08 18: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업 신용등급 전망 ‘하향·부정적’이 41곳…‘상승·긍정적’ 보다 많아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신용등급이 ‘BBB’인 한화토탈에너지스는 신용등급 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추락했다. S&P는 최근 “중국 석유화학 업체들의 생산능력 확대와 글로벌 수요 감소가 향후 12개월 동안 한화토탈에너지스의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레버리지 비율이 의미있는 수준까지 떨어지지 않는다면 신용등급을 ‘BBB-’로 하향하겠다”고 밝혔다.

#신용등급 ‘A-’인 SK어드밴스드도 등급 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됐다. 지난해 12월 신용등급이 ‘A’에서 ‘A-’로 강등된 지 4개월 만에 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떨어진 셈이다. SK어드밴스드는 2014년 SK가스의 PDH(LPG를 원료로 프로필렌 생산) 사업부문이 물적분할하면서 설립된 회사다. 지난해 말 기준 SK가스가 45%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이며, 사우디 AGIC가 30%를, 쿠웨이트 PIC가 25%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전방 수요가 약해진 데다 중국의 대규모 PDH 설비 증설로 수급환경이 악화했다”고 지적했다.

빚(부채)의 그림자는 2008년 ‘리먼 브러더스 파산 ’때의 도미노 신용강등이라는 공포를 소환한다. 신용 리스크가 확대된다면 기업들은 웃돈을 주고 돈을 빌리거나 자금줄이 막히는 ‘돈맥경화’를 걱정해야 한다. 당장 기업들이 하반기(7월~12월) 갚아야 할 회사채만 36조 원이 넘는다.

신용리스크가 유동성 위기로 번진다면 기업들은 투자나 인수합병(M&A)은커녕 벼랑 끝에서 생존을 걱정해야 한다. 최악의 경우 유동성 위기에 몰린 기업들은 ‘좀비기업’으로 전락하고 금융시스템을 흔들 수 있다.

신평사 3사 ‘상하향배율’ 하향 우위

8일 본지가 신용평가 3사(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NICE신용평가)의 연초 대비 국내 기업 장기 신용등급과 전망 평가를 분석한 결과, ‘상승·긍정적’인 곳과 ‘하향·부정적’인 곳은 각각 ‘27곳’과 ‘41곳’으로 집계됐다. 신용 3사의 평균 상하향배율은 0.6배로 1을 크게 밑돌았다. 신용등급 상하향배율이 1 이하라는 의미는 하향 우위라는 의미다.

기업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지난해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미매각이 발생한 효성화학은 지난달 진행한 500억 원 규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도 매수주문 0건을 기록하며 자존심을 구겼다. 1.5년 단일물, 희망 금리밴드 6.5~7.5%를 제시했으나 투심을 끌어내지 못했다. 공동 대표 주관사인 KB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인수단인 신영증권·미래에셋증권이 남은 물량을 인수했다. 효성화학은 지난해 1월에도 1200억 원 규모의 회사채 수요예측을 진행했지만, 산업은행이 인수하기로 한 700억 원을 제외하곤 매수주문이 0건에 그쳤다. 한신평과 나신평은 효성화학의 재무건전성이 악화했다는 이유로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토지신탁은 올해 2월 1000억 원의 회사채 발행을 위해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했지만, 380억 원의 매수 주문을 받는 데 그쳤다. 한신평이 한국토지신탁의 신용등급을 기존 ‘A(부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한 단계 강등하자 기관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은 것이다.

CJ ENM은 올해 초 20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추가 청약을 통해 가까스로 완판에 성공했다. 한신평과 나시평은 CJ ENM의 신용등급을 ‘AA-(안정적)’으로 부여했다. CJ ENM의 재무지표 악화는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한신평은 연결기준 ‘감가상각전영업이익(EBITDA)/매출액’ 지표가 20% 미만이 지속되거나 ‘순차입금/EBITDA’ 지표의 3배 초과가 지속될 경우 하향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두 지표는 작년 9월 기준 각각 20.8%, 3.1배다.

기업 10곳 중 4곳 좀비기업

기업들의 신용리스크는 좀비기업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기준 국내 기업 10곳 중 4곳은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감당하기 힘든 좀비기업 상태다.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상황 3월 보고서’에 따르면 이자보상배율 1을 밑도는 이자보상배율 취약기업 비중은 2022년 말 37%에서 작년 3분기 말 44.4%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이면 해당 기간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자보상비율 1 미만이 3년 이상 지속한 한계기업은 지난해 14.6%로 2018년 대비 4.6%p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좀비기업 우려는 더는 중소기업에만 해당하는 얘기도 아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산업계 주요 30개 기업 가운데, SK하이닉스(-5.26), LG디스플레이(-3.47), SKC(-1.40), 효성화학(-1.09), 롯데케미칼(-0.92), 포스코퓨처엠(0.71) 등이 지난해 말 기준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기업으로 나타났다. LG디스플레이, 효성화학, 롯데케미칼은 2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을 기록하고 있다. 이마트, AK플라자, 홈플러스, 롯데쇼핑, 한화갤러리아 등 유통기업들도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돌았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이자보상비율과 차입금상환배율 기준 취약기업의 차입금 비중이 외환위기 시보다는 낮지만, 금융위기 때보다는 높거나 근접한 상황이라고 경고한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기업부채는 이미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유사한 수준의 취약성을 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금융기관 건전성 악화→국가 재정 악화→국가신인도 하락 등으로 이어지는 악순화 고리 형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업부채의 역습 대비해야

기업활동이 위축되면 그 충격은 가계로 전이된다. 돈을 빌려준 은행도 어려움에 빠트릴 수 있다.

이는 다시 한국경제를 벼랑끝으로 몰 수 있다.

한국은행이 홈페이지에 소개한 빅토리아 이바시나 미국 하버드대 교수 등의 논문은 “기업부채 증가는 금융위기 확률을 유의미하게 높이고, 가계부채 증가가 견인한 금융위기보다 기업부채 증가가 선행된 위기일 때 경제 위축이 더 커진다”고 분석했다. 하버드대 연구진이 1940년부터 2014년까지 115개국의 기업부채를 분석한 결과다. 한은은 이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금융안정을 위한 모니터링과 건전성 규제 입안 시 기업부채도 가계부채 못지않게 중시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자금이 우리 증시에서 해외로 빠져나가면서 유동성이 감소해 우리 주식시장마저 ‘좀비시장’으로 전락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오늘은 '소설' 본격적인 겨울 준비 시작…소설 뜻은?
  • 총파업 앞둔 철도노조·지하철노조…오늘도 태업 계속 '열차 지연'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790,000
    • +3.78%
    • 이더리움
    • 4,706,000
    • +8.61%
    • 비트코인 캐시
    • 680,500
    • +9.49%
    • 리플
    • 1,682
    • +7.68%
    • 솔라나
    • 359,100
    • +7.58%
    • 에이다
    • 1,137
    • +0%
    • 이오스
    • 924
    • +4.17%
    • 트론
    • 278
    • +0.72%
    • 스텔라루멘
    • 352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500
    • -0.87%
    • 체인링크
    • 20,890
    • +3.47%
    • 샌드박스
    • 483
    • +2.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