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만기도래 익스포저 6.5조…트리거된 부동산 PF [저축銀, 위기의 시간①]

입력 2024-04-18 05:00 수정 2024-04-18 15: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4-17 18:34)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연체율 상단 1년새 8%p 상승
익스포저 5조 상반기에 만기
기업대출 악화ㆍ신용도 하락

지난해 말 저축은행 자산 상위 10개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1년새 대폭 올랐다. 나이스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등 신용평가사들은 “저축은행의 손실 폭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17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저축은행 자산 상위 10개사(SBI·OK·한국투자·웰컴·애큐온·페퍼·다올·모아·상상인·신한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 기준 0.27~13.24%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 말 기준 연체율은 0.01~5.03%였다. 1년 새 상단과 하단이 각각 8.21%포인트(p), 0.26%p 올랐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 자산 상위 10개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4조4980억 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4조9733억 원)보다 9.6%(4753억 원)가량 줄어든 수준이지만, 금융권에서는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축은행업권의 부동산 PF 익스포저가 문제가 되는 것은, 본PF 보다 사업 초기 리스크가 큰 브릿지론의 비중이 타 업권보다 높은 상황이라서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저축은행의 경우, 브릿지론 비중이 전체 부동산 PF 익스포저의 54%로, 증권(26%)나 캐피탈(36%)에 비해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저축은행 위험 익스포저 추이에 대해 총여신 대비 위험 익스포저 비중이 지난해 9월 기준 58%로 높은 상황이고, 자본완충력이 낮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 PF 익스포저의 80%가량이 올해 만기도래한다는 점도 리스크 요인이다. 나이스신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분석 대상인 16개 저축은행 부동산 PF 익스포저의 84.8%에 해당하는 6조5000억 원이 올해에 만기도래한다. 올해 상반기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부동산 PF 익스포저도 5조1000억 원에 달한다. 특히 브리지론의 경우, 약 70%에 해당하는 2조7000억 원의 만기가 올해 상반기에 집중돼 있다.

김한울 나신평 연구원은 “부동산 PF 자율협의회 등을 통해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만기 연장은 비교적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부동산 시장의 회복이 전제되지 않는 경우, 뚜렷한 위험 해소방안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사실”이라며 “만기도래에 따른 저축은행 부담은 점차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저축은행 업계는 5559억 원의 순손실을 냈다. 9년 만의 적자 전환이다. 79개 저축은행 중 절반이 넘는 41곳이 적자에 빠진 것으로 파악됐다.

연체율,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건전성 지표도 악화했다. 연체율은 6.55%로 전년 말(3.41%) 대비 3.14%p 상승했다. 2015년 12월 9.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크게 오른 탓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8.02%로 전년 말(2.9%)대비 5.12%p 상승했다. 가계대출은 5.01%로 같은 기간 0.27%p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7.72%로 전년 말(4.08%) 대비 3.64%p 상승했다.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6.94%로, 전년 말(2.05%)보다 3배 이상 상승했다.

개별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도 줄줄이 내려갔다. 나신평은 이달 15일 페퍼저축은행 장기신용등급을 하향조정했다. 조달비용 및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저하된 점과 자산건전성 저하, 자본적정성 지표 열위 등을 조정 근거로 들었다. 페퍼저축은행의 등급전망이 내려간 건 지난해 9월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해 9월에는 나신평이 수익성 저하 등의 이유로 더케이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의 등급전망을 낮춘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340,000
    • +3.45%
    • 이더리움
    • 4,708,000
    • +8.38%
    • 비트코인 캐시
    • 674,500
    • +6.98%
    • 리플
    • 1,683
    • +7.4%
    • 솔라나
    • 355,800
    • +6.65%
    • 에이다
    • 1,128
    • -1.48%
    • 이오스
    • 927
    • +4.16%
    • 트론
    • 278
    • +0.72%
    • 스텔라루멘
    • 353
    • -0.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400
    • -1.9%
    • 체인링크
    • 20,670
    • +1.27%
    • 샌드박스
    • 483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