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주주·행동주의 펀드 등의 주주환원 요구와 정부가 추진 중인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자사주 소각에 나선 기업들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주식소각 결정 공시를 한 상장사는 61곳으로, 전년 동기 33곳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 중 코스피 상장사가 38건, 코스닥 상장사가 23건으로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한 기업이 주식 소각 결정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사주 소각은 시중에 유통 중인 자사 주식을 매입한 뒤 없애 유통 주식 수를 줄이는 것을 뜻한다.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면 주당 가치가 올라가게 되므로 대표적인 주주가치 제고 방안으로 꼽힌다.
건수와 더불어 자사주 소각 규모도 크게 늘어났다. 자사주 소각을 발표한 61개 기업은 총 5조4042억 원으로 평균 886억 원 규모로 자사 주식을 소각할 예정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자사주 소각 규모는 총 1조7481억 원, 평균 546억 원이었다.
SK이노베이션은 발행 주식 수의 4.9%, 7936억 원 규모 자사주 소각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SK이노베이션 측은 이를 통해 기존 발표한 배당 성향의 30%를 초과하는 주주환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물산은 2023년 발표한 3개년 주주환원정책에 따라 올해 7677억 원 규모 자사주 소각에 나선다고 밝혔다.
자사주 소각에 나선 기업이 늘어난 것은 주요 행동주의펀드들이 전략을 다양화해 사 측과 대화로 풀어나가는 방향을 택하는 경우가 늘었고, 정부 기업 밸류업 정책 추진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ESG연구소(KRESG)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3월 정기주주총회 이전까지 자사주 소각을 실시한 기업은 66개사로, 전년 27개사 대비 늘었고, 분기 및 중간배당을 실시한 기업도 전년 53개사에서 92개사로 증가했다. 다만, 올해 정기주총 주주제안 수는 52개로, 전년 72개 대비 줄었다.
한국 ESG연구소는 “자사주 소각 기업의 증가는 금융당국에서 정책과제로 추진 중인 밸류업 정책 취지와 부합하는 시장의 변화라고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한편, 정부 밸류업 정책에 발맞춰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법안 개정안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업거버넌스포럼은 5일 차기 국회에 자사주 소각 의무화 및 배당소득세 분리과세 세율 인하, 집중투표제 의무화 등 10개 과제를 요구했다.
이날 이남우 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자사주는 지배주주 돈이 아닌 회사의 자금으로 매수한 것이므로 경영권 방어 수단이 될 수 없다”며 “선진국에서는 자사주 매입과 동시에 소각하므로 자사주라는 계정이 재무상태표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