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면증은 7~8시간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도 주간에 참을 수 없는 졸음을 느끼는 것이 특징이다.
심지어 하루에 10시간 가량 자도 낮에 동안 졸린 현상이 지속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의 원인을 단순 수면 부족 때문이라고 치부하기 어렵다.
기면증 발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학계 내에서는 신체 감각 조절에 기여하는 수면 발작 관련 뇌단백질인 '히포크레틴(hypocretin-1)'의 분비 이상, 백혈구 항원 형질 유전자의 관여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구체적인 기면증의 증상으로 주간 일과 중 특별한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참을 수 없이 쏟아지는 졸음, 갑자기 몸에 힘이 빠지는 탈력 발작, 만성피로, 수면마비, 가위눌림 등을 꼽을 수 있다.
문제는 일부 환자들이 기면증을 단순 생리적 현상으로 치부해 치료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면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집중력 감소, 반응 감각 저하, 시야 흐림, 업무 능력 감소, 교통사고 발생 확률 증가 등을 겪을 수 있다. 이처럼 일상생활 속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적극적인 치료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기면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와 다중수면잠복기 검사를 고려할 수 있다.
병력 청취가 중요하나 확진을 위해 1박 2일에 걸친 야간 수면다원검사 및 주간 다중수면잠복기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특히 수면다원검사는 야간 수면질환의 감별 및 적정 수면시간의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 중 뇌파와 눈의 움직임, 근육의 긴장도, 수면 중 발생하는 부정맥·동맥혈·산소포화도·호흡운동·호흡기류·자세 등을 측정하는 과정이다. 주간졸림증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수면잠복기 검사도 실시할 수 있다. 다중수면잠복기 검사는 과수면 질환 유무 및 진단, 심한 정도 판별을 위해 필요한 수단이다.
숨수면클리닉 이종우 원장은 "기면증이 중추성 과수면증의 하나인 만큼 뇌 안 각성 전달 물질인 히포크레틴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면증 환자라면 뇌 척수액 내에 히포크레틴 감소가 관찰될 수 있기 때문"이라며 "비특이적인 탈력 발작, 다중수면잠복기 검사 결과 위양성, 위음성 등으로 의심될 경우 히포크레틴 측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후 수면 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카페인 섭취를 조절하는 행동요법, 처방에 의해 복용하는 약물치료 등을 시행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