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 후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월부터는 4%대로 낮아지고 올해 말에는 3% 초반으로 내려가는 패스(경로)를 생각하고 있는데, 이대로 가면 굳이 금리를 올려 긴축적으로 갈 필요가 없다”며 “우리가 생각하는 물가 패스(경로)로 가느냐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동결이) 경기를 위해 물가를 희생했다거나 그런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또 “물가 상승률이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연중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정책여건 불확실성도 높아 기준금리의 현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향후 소비자물가 둔화 속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최종금리 수준, 중국 경기 회복 영향, 부동산 경기, 금융안정 영향, 금리 인상 파급 영향 등 여러 요인을 면밀점검하는 것이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했다는 얘기다.
이 총재는 “지난해 4월 이후 금통위 회의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다가 이번에 동결한 것은 어느 때보다 높은 불확실성을 고려한 결정”이라며 “이번 동결을 금리 인상 기조가 끝났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차를 운전하는데 안개가 가득하면 세우고 안개가 사라질 때를 기다린 다음에 갈지 말지를 봐야 하지 않느냐”면서 “(이번 동결을) 그렇게 이해해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선 “물가 경로가 장기목표인 2%(상승률)로 가는 게 자료로 확인되면 그때 인하 가능성을 논의할 것”이라며 “그 이전에는 시기상조다. 몇 개월 사이 변화가 나타날 그런 여건은 아닌 것 같다”고 했다.
최근 다시 1300원을 넘기며 꿈틀거리는 원·달러 환율 상승세와 관련해 “환율이 물가 경로에 주는 영향은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라면서도 “1300원이나 1400원 등 특정 수준에 의미를 두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환율 급등으로 외환위기 등을 언급하며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결국 그렇게 되지 않았다. 환율 상승을 과거처럼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최근 환율 상승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국내 요인보다는 미국 통화정책 최종금리와 지속 기간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때문이란 진단이다. 이 총재는 “특정 수준을 타겟(목표)하기보다 이번 불확실성 속에서 쏠림현상이 나타나거나 변동성이 커지면 금융시장 안정과 물가 영향 등을 고려해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미 금리차와 관련해 “변동환율제하에서 특정 적정수준은 없다”면서 “기계적으로 몇%포인트(p)면 위험하거나 바람직하다는 것은 없다. 격차가 너무 벌어지면 변동요인이 될 수 있으니 고려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장금리는 오히려 낮아지는 등 통화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기준금리를 1년 반 동안 300bp(3%포인트) 올렸는데 기업과 가계가 높아진 금리를 피부로 느끼고 있다. 통화정책이 작동하고 있다”면서 “큰 시계로 봤을 때 300bp 올린 것이 회사채 금리 전체 시장금리에 영향을 많이 줬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