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산업화의 성과가 부족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식이 하나의 산업으로서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만큼 한식의 산업적 성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올해 9월 1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자체 플랫폼을 활용해 ‘한식 산업화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한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총 182명의 참여자가 한식 산업에 대한 인식조사와 한식 산업화 아이디어 응모에 참여했다.
응답자들은 한식이 국제적으로 인기 있는 음식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했다. ‘한식의 세계화(국제적 인기)가 어느 정도 성공했냐’는 질문에 과반수가 긍정 응답(잘함 42.1%, 매우 잘함 8.6%)했다.
반면 한식의 산업화에는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는 인식이 다수였다. ‘한식의 산업화(산업구조 형성)가 어느 정도 성공했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5%만이 긍정 응답(잘함 20.4%, 매우 잘함 5.3%)했다. 한식의 국제적 인기와는 별개로 한식을 통한 밸류체인 및 산업구조 형성에는 아쉬움이 있다는 평가다.
한식 산업화가 향후 국가발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90.8%(중요 26.3%, 매우 중요 64.5%)가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응답자 대다수가 한식 산업이 향후 국가발전에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해외에서 한식의 산업화가 미진한 이유(중복응답 가능)로는 △한식에 대한 인식과 홍보 부족(48.3%) △명칭 및 조리법 비표준화(46.7%) △해외에서의 식재료 수급 어려움(33.5%) 등이 꼽혔다.
한식이 대외적으로 추구해야 할 이미지(중복응답 가능)로는 △건강식·웰빙으로서의 이미지(69.1%) △젊고 힙한 이미지(42.1%) △고급스럽고 정적인 이미지(41.4%) △매운맛 등 특색있는 이미지(20.3%)가 꼽혔다.
김보석 한식진흥원 팀장은 “과거 일본, 태국 등은 자국 음식에 대한 명확한 이미지를 형성해 산업화에 성공한 사례”라며 “한식 역시 어떤 브랜딩과 이미지를 입혀서 국제적으로 인식되게 할 것이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한식 산업화를 앞당기기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도 병행됐다. 상의는 전문가 심사를 거쳐 최우수상으로 ‘외국인 한식전문인력 양성방안’을 선정했다.
최우수상에 선정된 정현우 씨는 “한국인들이 국내에서 쌀국수집, 피자집을 차리는 것처럼 해외에서도 현지인들이 쌈밥집, 비빔밥집을 차려야 진정한 의미의 한식 산업화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해외 현지에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강민재 대한상의 국가발전팀장은 “국민이 내주신 한식 산업화에 대한 아이디어들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전문가를 통해 국민 아이디어 선정작의 사업 타당성 분석을 진행한 후 자문단과 사업 방향을 결정하고 정부 건의, 관계기관과의 공동사업 추진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 말했다.